[쉼,하며]/경영리즘들

경영학 카페 : 변혁기 기업의 혁신전략 ⑤

Jackim 2011. 7. 11. 10:59
    [한경 Biz School] 경영학 카페 : 변혁기 기업의 혁신전략 ⑤ [한국경제]|2011-04-14|1860자 "100개 가운데 한 개만 불량품이 섞여 있어도 다른 아흔아홉 개 모두 불량품이 나 마찬가진기라." 얼마 전 LG전자가 해외법인에 전파한 구인회 창업 회장의 어 록이다. 이 말에는 품질경영의 철학이 담겨 있다. LG전자뿐만 아니라 여러 국내 기업 CEO들은 올해의 경영화두 중 하나로 '품질'을 꼽았으며,그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지난해 발생한 도요타 리콜 사태나 아이폰4 출시와 함께 불거진 안테나 수신 문 제도 품질의 중요성을 상기시켜줬다. 품질을 소홀히 하는 기업은 잃는 것이 많 다. 당장 십수억달러의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장기간 브랜드에 미칠 타격 은 이보다 더 클 수 있다. 품질 문제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많은 문제는 제품 개 발 단계에서 시작된다. ◆복잡해지는 제품 개발과 품질관리 지난 몇 년 동안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지면서 제품 개발 과정에 대한 요 건이 강화됐다. 원가경쟁력 부담이 늘어나며 개발 주기는 크게 줄었다. 현대자 동차의 경우 2002년 약 40개월이던 자동차 개발시간을 최근 24개월로 단축했으 며,자동차 모델 포트폴리오는 28개에서 34개로 늘렸다. 이렇게 복잡해지는 제품 개발 과정에서 체계적인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제품 개발 과정에서 업무 간 효율적인 조율이 이뤄지지 않으면 마지막 단계에 문제들이 축적돼 제품 출시가 연기되거나,소비자의 품질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 는 저품질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특히 제품을 시장에 내놓는 마지막 단계에 개발 부서가 발등의 불 끄기 식으로 축적된 문제를 해결하면 자원의 분배가 계획대로 되지 않아 품질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퀄리티 게이트'로 관리 많은 기업이 겪는 제품 개발의 악순환을 어떻게 끊을 수 있을까. 답은 '퀄리티 게이트(quality gate)'에 있다. 퀄리티 게이트는 개발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고 각 단계 사이의 주요한 지점에 의사결정 기점을 설정,제품의 중간 개발 상태가 다음 단계로 진행해도 될 만큼 충분히 적합한지를 결정하는 기법이다. 제품의 통과 기준은 표준 템플릿(template)으로 관리해 제품 개발과 관련한 모 든 이해관계자들이 현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명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파악된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영진이 개발의 중지 및 진 행과 관련한 중요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한다. 퀄리티 게이트는 특히 신제품의 빠른 출시가 순수익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동차 나 가전제품 산업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된다. 유럽의 한 자동차기업은 2000년대 중반 자사 지역조직 중 한 곳에 퀄리티 게이트 기법을 도입했다. 이 회사의 해 당 지역 R&D 부문은 지난 20년 동안 신모델을 적기에 출시한 적이 없었다. 이에 회사는 '신제품 개발의 성공사례 구축'을 위해 개발 초기 단계에서 이미 계획보다 몇 개월 지연된 프로젝트에 퀄리티 게이트 기법을 도입했다. 회사는 철저한 실행을 통해 프로젝트의 실제 개발 상태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고 잠재적 문제점을 조기에 탐지해 동시공학팀(SETs · simultaneous engineerin g teams)이 문제 해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결국 이 회사는 프로젝트 지연 문제를 해결하고 24개월 뒤 계획에 맞춰 적기에 제품을 출시했다. 이후 퀄리티 게이트 도입을 전체 제품 포트폴리오에 확대 적용하면서 모든 자동 차 상품군에서 훨씬 높은 소비자 품질 등급을 확보했다. 또 제품 출시 시기를 탁월하게 맞춰 연간 2000만~3000만달러의 수익을 올리게 됐다. 안드레아스 마이어 네오플럭스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