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NDARD COST 原價/會計/財務管理
http://blog.naver.com/kmh8400/50008719238
표준원가란.......
표준이란 하나의 기준이며 이것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달성가능한 목표치이다.
표준이라는 이런 개념은 경영에 있어 구체적으로 적용가능한 개념이며 경영자의
입장에서는 예외에 의한 관리가 가능하게 하고 성과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시해
주어 피고용자의 입장에서 동기부여를 위한 수단이 된다.
여기서 표준원가계산이란 직적재료비,노무비,경비에 대해서 미리 설정해 놓은
표준원가를 이용하여 제품원가계산을 하는 것을 말한다. 즉 표준원가계산은
모든 원가요소에 대해서 과학적 방법과 통계적 방법에 의하여 표준이 되는
원가를 미리 산정하고 이를 실제 발생한 원가와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원가통제(원가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원가계산방법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가회계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①제품원가계산-재무제표 작성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기말재고자산의 평가(단위원가×수량)가 필수적이며
이는
제품원가계산(product costing)을 통해 이루어진다. 제품의 가격결정 등을 위해서도
제품원가계산이 필요하나 재무제표작성이 가장 중요한 목적이므로 GAAP를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품원가계산은 관리회계보다는 오히려 재무회계의
특성을 많이 갖는다.
②계획/의사결정
경영자의 장·단기 경영계획 또는 여러 가지 의사결정(예: 자가제조/외부구입,
특별주문의
수락 등)에 필요한 원가정보를 제공한다.
③통제/성과평가
통제는 종업원들에 대해 목표 또는 기준을 설정하고 실적을 비교하여 차이를
분석(성과평가)한 다음 필요한 조정을 해 가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경영자는 목표를 설정하고 실제를 집계하는 과정에 원가정보를 필요로 한다.
(예)생산부의 원가를 통제하기 위해 제품의 단위원가에 대한 목표(표준원가)를
설정하고 사후에 실제원가를 집계하여 비교한다.
각 목적별로 표준원가의 유용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품원가계산 : 표준원가를 기준으로 제품원가계산을 하게 되면 원가계산이
신속하고 간편해진다. 즉 실제원가계산에서는 제품이 완성되었다 하더라도
실제 발생한 제조원가가 집계회어야만 제품원가계산을 할 수 있지만 ,
표준원가계산에서는 표준원가로 제품원가를 계상하기 때문에 수량만 파악되면
제품원가는 자동적으로 결정되게 된다.
계획의사결정 : 표준원가는 예산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예산이란 기업의 공식적인 행동계획을 화폐단위로 표시한 것을 말하는데 표준원가가
설정되어 잇으면 예산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통제 :원가통제란 일정한 품질이나 규격을 갖춘 제품을 생산한다는 전제를
만족시키면서 원가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발생하도록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표준원가게산에서는 달성목표인 표준원가와 실제원가를 비교하여 실제원가가
표준원가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고 잇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원가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표준원가의 설정시 주의점
표준원가계산을 사용하기 위한 출발점은 표준원가를 설정하는 일이다 ,
표준원가란 특정제품을 생산하는 데에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 원가로서
제품을 제조하기 이전에 결정된다.또한 표준을 설정함에 있어서 과학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지만 이것이 종업원에 의하여 수용가능할 때 표준의
설정의 의미가 있다 . 따라서 경영자에 의한 일방적인 설정이 아닌 종업원과의
토론을 통한 종업원의 동의를 이끌어 나갈 때 동기 부여 측면에서도
그리고 표준의 설정의 의미 자체에서도 중요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