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일꿈]중국 내수 의류시장 공략하자
|
[내일신문]2008-02-01 23면 1405자 |
중국 내수 의류시장 공략하자이순옥 (의상디자이너) 최근 몇년 동안 중국 의류 제조업의 발전은 놀랄 정도다. 시장도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의 의류 제조업은 수출 비중이 매우 높아 전형적인 대외 의존형 업종이다. 하지만 최근 도시 소비자의 경우 의류 유행추세에 대해 갈수록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47% 정도의 소비자가 항상 패션 잡지를 구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 역시 급증하고 있다.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개방이 확대되면서 외국 제품 선호가 두드러지고 있다. 또한 의류를 판매하는 업체들이 프랜차이즈 등의 영업방식을 빠르게 확산시키고 있으며 대도시 40% 이상의 소비자가 대형백화점 등에서 의류를 구매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중국 의류소비시장은 국내에서 볼 때 단순히 의류 생산기자가 아니라 수출을 위한 소비시장으로 변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중국 의류 제조업은 중소기업 위주로 기업 집중도가 높지 않다. 2002년 통계를 보면 소기업 7797개가 총 의류 제조업체의의 94.81%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기업과 중간규모의 기업이 단지 5.19%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은 기존에 값싼 의류를 찾는 분위기가 강했다면 최근에는 브랜드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국내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하면서 품질이 좋은 고급제품이라는 이미지를 심어놓으면 중국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브랜드 이미지를 굳히기 위해서는 먼저 질 좋은 품질이라는 것을 어필할 수 있는 과학기술이 함유된 첨단 소재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세계 주요 의류 생산국들은 꾸준히 신기술 섬유와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기능성이 높은 의류는 중국인들에게도 크게 호평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통기성이 우수하고 주름방지, 다림질 시 연소방지, 기름때 방지, 정전기 방지, 중국기후의 특성을 고려해서 황사에 강한 의류를 개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향균 곰팡이 방지 기능을 갖춘 의류는 기본이다. 이렇게 우수한 품질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광고를 벌인다면 다른 중국제품들에 비해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무엇보다도 고객들의 요구를 빠르게 받아들여 이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시장의 트렌드에 뒤쳐진다면 쉽게 도태될 수밖에 없다. 이전까지 한국 의류업체들의 중국 투자는 중국을 단순한 생산기지로 본 것이다. 하지만 중국은 90년대 중반부터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인건비가 상승하고 있다. 물론 중서부 지역의 개발로 당분간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어렵다. 앞으로는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의류브랜드를 키워나가는 데 중국만큼 기회가 큰 곳도 없다. 중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해볼 때다. |
'[일,하며] > 어패럴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업계 ‘봄 실종’… 벌써 여름옷 (0) | 2008.03.22 |
---|---|
“유럽스타일로 한국시장 재도전…좋은옷은 편안” (0) | 2008.03.22 |
세계문학상 당선작 '스타일' 줄거리 (0) | 2008.02.02 |
웰빙 기능성 섬유 붐의 잠재적 위험(2) (0) | 2008.01.26 |
니트머신 해설 (0) | 200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