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나가소데
→ 긴소매, 긴소매를 뜻하는 일본어.
나까야마
→ 가운데 캠, 가운데 캠을 가리키는 일본어.
나나인치
→ 셔츠단추구멍, 싱거(singer) 재봉틀 71종으로 만든 단추구멍이라는 의미인데 현재는 셔츠 단추구멍을 뜻하는 일본어로 알려져 있다.
나라시
→ 연단, 연단을 뜻하는 일본어.
나라시다이
→ 마름질대, 마름질대를 뜻하는 일본어.
나름대
→ 마름질대.
나름질
→ 연단, 연단과 같은 뜻으로 쓰이나 원래 나름질은 직조과정에서 정경을 뜻함.
나바조 레이스(navajo lace)
해군 휘장에 사용되는 금색의 브래이드를 뜻한다.
나비(width)
가로방향의 정해진 두 점간의 거리, 대체로 좌우(가로)의 것은 나비라고 하고 상하(세로)의 것은 길이라고 함. 넓이와는 구분해서 써야 함.
나비나사
횡편기의 눈금판에 부착된 기소.(눈금판 참조)
나비 넥타이(butterfly tie)
좁은 매듭과 끝이 나팔꽃 모양으로 벌어지게 만든 나비 모양의 넥타이.
나비산
→ 올림 캠
나비 야마
→ 올림 캠, 올림 캠을 가리키는 우리말과 일본어가 혼합된 말.
나사(screw)
빙빙 비틀리어 졸아가면서 고랑이 진 형상의 막대. 나사못.
나사돌리개
→ 드라이브
나삼(羅衫)
① 얇고 가벼운 비단으로 만든 적삼. ② 부녀들의 구식 예복의 일종으로 혼례 때 산부가 활옷을 벗고 입는다. 연두빛길에 자주빛깔 끝동을 달고 소매는 색동으로 만든다.
나모시
→ 고침. 고침을 뜻하는 일본어. 현재 “나모시를 고친다”고 사용하고 있으나 중복으로 표헌하는 것임.
나이트 가운(NIGHT GOWN)
가정에서 잠옷 위에 걸쳐 입는 홈드레스(HOME DRESS)로서 침대생활에 많이 이용된다. 옷의 모양은 우리나라의 두루마기와 비슷하나 옷고름대신 허리띠를 매게 되어있다. 천은 면 새틴, 태피터, 크레폰, 트리코 등이 사용되며 남자용은 무지염이 많이 이용되고, 부인용은 체크무늬등이 이용된다. 소매 및 깃에 화려한 색의 테코레이션(DECOLATION)을 부착한다.
나이트 드레스(NIGHT DRESS)
부인용 긴 잠옷을 말하며, 대개는 소매가 없지만, 짧은 소매를 달기도 하는데 특히 깃 사이가 넓은 것을 말한다.
나이트 셔츠(NIGHT SHIRT)
무릎을 겨우 가리는 셔츠 스타일로 밤에 입는 나이트 가운이나 옷 위레 입는 가운을 다른 말로 부를 때 사용된다. 남자 여자 아동들에게 입혀진다.
나이트 캡(night cap)
잠잘 때 머리카락이 헝클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쓰는 모자의 일종이다.
나이티9NIGHTY, NIGHTIE)
부인 및 아동용의 나이트 가운을 말한다.
나이프 플리트 스커트(KNIFE PLEAT SKIRT)
한쪽 방향으로 좁게 접은 주름치마로 주름들의 끝이 칼날같이 예리하게 생겼다고 하여 나이프라는 이름이 붙어졌다.
낙하판(落下板, chopper bar, fall plate)
라셀 편기의 변화편을 편성하는 기구. 엷은 금속판으로서 가이드 바와 같은 축외 브래킷(bracket)에 장치되어 있다.
낙하판 편성물(落下板編成物, fall plate fabric)
낙하판이 설치된 라셀 편기에서 낙하판의 작용에 의해 편성된 변화 편조직의 편포.
날실(warp end)
직물에서 길이 방향으로 놓인 실, 즉 식서와 평행인 올.
남바위
추울 때 머리에 쓰는 방한구. 모양은 풍뎅이와 비슷하나 그 가장자리 둘레에 넓이 5cm의 털가죽을 붙였다.
남방 셔츠(aloha shirt)
남자가 여름에 입는 남양풍의 윗옷.
남스란치마
남빛의 비단으로 지은 스란치마. 명주로 하면 폭이 12폭, 길이 아홉자 정도로 짓고 지마 끝에 織金을 둘러댄다.
내로우 스커트(narrow skirt)
치마폭이 좁은 스커트를 말한다. 활동하기 불편하기에 운동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대개 터침 슬릿(slit)을 한다. 대표되는 것은 일직선으로 내려간 슬림(slim)스커트, 쉬프트(shift)스커트 등이다.
내로우잉 포인트(narrowing point)
편기에서 편포의 폭을 줄이기 위하여 편환을 다른 편침으로 옮기는데 사용되는 뾰족한 금속제.
내로우 패브릭 스커트(narrow fabric skirt)
타이트, 스커트의 일종이며 시드슬림, 테이퍼드 스커트와 마찬가지오 폭이 좁은 것.
내림산
→ 내림 캠
내림쇠(weight holder)
톱니와 잠글대로 되어 있으며 편포를 일정한 장력으로 끌어내는데 사용된다.
내림 oa(knitting cam, stitch cam, lowering cam)
3각캠이나 레이스 캠에서, 편성운동중 편침을 하강시켜 편환을 탈출케 해주는 캠으로, 하강 캠, 니팅 캠, 스티치 캠 이라고도 함.
내림캠 기둥
횡편기의 눈금판에 부착된 기소(눈금판 참도).
내압복(耐壓服, pressure suit)
잡수복이나 우주복 등의 내압성 의복.
내의(內意, under wear)
외의나 중의(中衣) 밑에 입는 의류.
내츄럴 웨이스트 드레스(natural waist dress)
허리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정상의 위치에 있는 드레스를 말한다.
내화복(耐火服)
방화복.
냅 오버코트(nap overcoat)
냅 클로드의 외투감 천으로, 방모사로 2중직으로 하여 죽융 기모한 뒤, 보플을 중근 스타이럴 모양이나 물결 모양으로 만든 것. 냅(naps)
너널
추운 겨울에 신는 솜 덧버선.
너치(notches)
패턴에서 갈라져 나온 U모양이나 V모양 같은 작은 부분. 의복의 갈리워진 부분끼리 연결하는 표시로 사용된다.
너치드 칼라(notched collar)
너치란 V자형의 새김눈이나 베인 자리라는 뜻으로 v자형 칼라의 총칭이다. 테일러드 칼라처럼 윗깃과 아랫깃 사이를 V자형으로 새간 것이다.
넓이
→ 나비. 나비와 같은 뜻으로 쓰이나 원래 넓이는 면적을 뜻하므로 나비와는 다름.
네글리제(negligee, neg-li-코묘)
비치는 얇은 옷감에 레이스나 러플로 장식한 롱 웨어. 대개 속에다 매치되는 나이트 가운을 세트로 만들며 일명 피누아(peignoir)라고도 칭한다.
네델란드 웹 편조직(hollandish web stitch)
리브 편조직에 웰트를 응용한 편조직으로 4코오스가 1완전을 형성한다.
네루(nehru)
차이니스 칼라와 유사하며 때로는 앞칼라의 끝을 둥글게 굴리기도 한다. 인도의 네루 수상이 자주 입었다고 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1960년대에 유행하였다.
네루 재켓(nehru jacket)
직선으로 좁게 엉덩이까지 내려오며 스텐드 업 칼라 앞단에 단추가 달려있다. 1947년부터 1964년까지 인도 수상을 지냈던 네루가 즐겨입었던 재킷에서 응용되었으며 1960년대초 남성들에 의해 유행되었다.
네지
→ 나사. 나사를 뜻하는 일본어.
네크라인(neckline)
목주위에 기본 원형을 변형한 여러 가지 종류의 목둘레 선을 발한다. 옷에서 네크라인이란 얼굴과 제일 가까운 곳이기에 무엇보다도 인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단점을 감추는 경우와 그 반대로 개서을 강조해 효과를 내는 경우 등이 있다. 인상과 얼굴이 잘 조화되도록 연구하여야 한다.
네크 웨어(neck wear)
옷을 보충해 주도록 목근처에 매는 악세사리를 말한다.
네크 초커(neck choker)
목에 꼭 맞는 목걸이를 말한다.
넥타이①(necktie)
양복을 입을 때 와이셔츠 깃 아래로 목을 둘러매어 앞으로 늘어뜨리도록 천으로 만든 물건.
넥타이②(neck tie)
목이나 칼라의 둘레에 감아 앞으로 매는 좁은 띠 모양의 천을 통틀어서 말한다.
넥 홀(heck hole)
앞뒤길에 깃을 단 자리를 둥글게 도려낸 자리.
넵 흠(nep defect)
편포흠의 하나로 섬유 뭉치가 3mm이하의 것.
넷 편조직(net stitch,ordinary net)
편침을 한개씩 띄어 실을 꿴 2매의 가이드 바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편성한 그물 모양의 편조직. 2매의 가이드 바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애틀러스(atlas) 편조작과 같은 운동을 한다.
노루발(presser foot)
재봉틀에서 옷감을 눌러주어 바느질이 가능하게 하는 부속품.
노루발 죔 나사
재봉틀에서 노루발을 빼거나 끼울 때 사용하는 나사못.
노르딕 스웨트(nordic sweater)
노르딕은 북유럽이란 뜻이며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이 많이 입는다. 눈의 결정체, 침엽수 등의 무늬를 넣어서 대담하게 짠 스포티한 스웨터를 말하며 일명 스칸디나비안 스웨트, 혹은 스키 스웨트라고도 불린다.
노킹 오버(knocking over)
편침의 머리 위에 걸려 있는 舊編環을 편침의 머리에서 벗어나게 하는 편성 동작을 말한다.
노킹 오버 싱커(knocking over sinker)
싱커 휠 편기의 실린더 바깥 둘레에 편침과 편침 사이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부품으로서, 편침의 스템에 걸려있는 구편환을 닫혀진 비어드 위로 올리고, 비어드에서 빗긴다.
노킹 오버 캠(knocking over cam)
심커 휠 편기의 실린더 위쪽에 장치되어 있는 캠의 일종으로서 편침의 비어드 위에 걸려있는 구편환이 벗겨지게끔 노킹 오버 싱커를 실린더 바깥쪽으로 민다.
노킹 오버 휠(knocking over wheel)
루프 휠 편기의 부품으로서, 블레이드가 부착된 휠이다. 비어드 위에 걸려있는 구편환을 편침의 머리에서 벗긴다.
노팅엄 레이스(nottingham lace)
영국 북부지방에 있는 노팅엄 주에서 생산되었던 기계 편성 레이스를 말한다.
노포크 재킷(norfok jacket)
1880년대 영국의 노포크 공작에 의하여 애용된 수련용의 스포츠 재킷으로 그후에 사일록 홈즈 탐정 이야기에 나오는 와트슨 의사가 입었던 재킷에서 응용되었으며 어깨에서부터 옷자락에 거쳐 박스 프릿츠를 잡고 뒤쪽 중심과 소매에도 주름을 넣어 기능적으로 만들었고 벨트가 달린, 길이가 엉덩이까지 오는 싱글브레스트의ㅣ 재킷이다. 남성, 여성, 아동 모두 입으며 1960년대에 유행했었다.
녹 오버(knock over)
편성동작의 하나로 신편환이 편침에서 형성되면서 구편환이 편침 머리에서 벗어지는 동작으로, 구편환은 신편환에 걸려 새로운 편환이 만들어 진다. 먹고 벗는다 또는 편환 탈출이라고도 한다.
녹 오버 비트(knock over bit)
풀 패션 편기(코튼식 편기)에서 싱커와 디바이더 아래에 설치어 있는 작고 얇은 강철판으로 구편환을 편침머리에서 벗기는 역할을 한다.
녹 오버 캠(knock over cam)
원형편기에서 구편환을 편침머리에서 벗어지게 하는 캠. 녹킹 오버 캠이라고도 함.
녹 오버 콤(knock over comb)
횡편기 편침상의 윗부분으로, 편성시 싱커 루프를 만드는 부분이다.(편침대 참조) 천치 또는 이라고도 한다.
논래벌(nonravel)
본봉으로 된 스토킹은 웰트부분에서 런이 일어난다. 웰트에서 생기는 어떠한 런도 스토킹의 다리 부분 아래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본봉 메시로 만들어진 전체적인 웰트를 의미한다.
논런(non-run, run-proof)
편성 본봉 메시로 된 양말에 적용되는 용어로서, 실이 절단되면 런은 가장 가까운 본봉 이상으로 더 확대되지 않는다.
논립 페이싱(nonrip facing)
끝단이 메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쪽 부분으로부터 다른 쪼게 이르기까지 소매의 끝단 둘레에 바느질한 직물의 조각.
논 프릭션 편침(non-friction needle,frictionless needle)
편침홈에 느슨하게 들어가고, 편침홈 벽에 압박을 주지 않게하기 위하여 EHr 바르게 만들어진 래치 편침.
1×1 놉 편조직(1×1 knop stich)
리브에 편조직 턱과 웰트를 응용하여 1완전이 12급사구로 된 편조직.
3×1 놉 편조직(3×1 knop stich)
리브 편조직에 턱과 웰트를 응용한 것으로, 턱 코오스에서 4번째 편침마다 턱 시킨 편조직.
농부복(農夫服, peasant costume)
세계 여러 나라에서 농부들이나 시골 사람들이 입는 의복들로, 주로 유럽, 아시아, 그리고 아프리카 등지에서 입혀지다. 특히 유럽 사람들의 옷은 다른 사람들의 눈을 끌 만큼 찬란하고, 각 지방 고유의 관습 및 기후 등을 표현하기도 한다.
누끼
→ 뺄판, 뺄판을 가리키는 일본어.
누름대(machine foot, presser foot)
재봉이의 한 부품으로서 천을 위쪽에서 누르는 쇠붙이.
누비(縷緋, quilting)
옷감 안팎을 맞붙여서 그 사이에 솜을 조금 두고 줄이 지게 촘촘이 홈질을 함. 부분적으로 솜이나 털실을 두어 부풀게 한다. 또는 솜을 둔 옥감위에 그림 본을 놓고 그 위를 박는다. 옷, 이불 따위에 쓰인다.
누비아(nubia)
부드럽고 가벼운 방모사로 편성 또는 크로쉐 編한 장식용 스카프로서, 여자들이 머리나 목에 두른다.
누이메 조세 쯔끼
→ 바느질 땀 조절기, 바느질 땀 조절기를 뜻하는 일본어.
누이시로
→ 시접, 시접을 뜻하는 일본어.
눈금판
횡편기 캐리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기소로, 내림 캠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1mm의 간격으로 20개의 눈금이 그어져 있다. 눈금판에는 내림 캠 빗면과 나란하게 메뚜기 구멍이 뚫려있고, 메뚜기 구멍에는 도침날을 받쳐주는 도받침이 나사로 조이게 되어 있다. 또 내림 캠 기둥에는 도침날이 끼워져 있다.
뉴루프(new loop)
편성동작 중 편침의 축에 편사를 파지한 채 이미 만들어진 구편환 속을 통과하여,, 편침 훅에 걸려 있는 편환, 신편환이라고 함.
뉴룩(new look)
1947년 가을, 크리스티앙 디오르가 발표한 새로운 디자인의 호칭. 치켜올린 어깨에 짧은 스커트가 유행할 때 그는 여성적인 처진 어깨와 도련 폭이 넓은 롱 스커트를 발표하여 주목을 끌었다.
늘품
→ 여유분.
니들(needle)
도비나 자카드의 수평침. → 편침.
니들 런 레이스(needle-run lace)
오티프를 갖는 기계로 짠 그물 바탕에 손바늘로 디자인한 윤곽을 나타낸 레이스류.
니들 레이스(needle lace)
한개의 바늘로 먼들어지는 레이스. 많은 실이 사용되는 보빈이나 필로우 레이스의 상대어이다. 각각 서로 꼬여져 있으며 처음 메시가 완성되기 전에 다음 메시로 옮겨진다. 손으로 만들어진 레이스는 리얼 레이스(real lace) 또는 포인트 레이스로 불리어 진다.
니들 루프(needle loop)
편환에서 편침에 의해서 만들어진 원호 부분.
니들 루프 트랜스퍼(needle loop transfer)
편침에 걸려 있는 편환이 스타일링(styling)의 목적으로 한개 또는 그 이상의 편침으로 구성된 편침에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옮겨지는 것. 코 옮기기라고도 한다.
니들 리드(needle lead)
주조된 닙에 꽂혀 정렬된 래치 바늘의 群이며, 라셀 편성에 사용되었다. 독일 모델의 라셀기에서는 납이 약 4.56cm 이고 미국 모델 라셀기는 납이 5.08cm 이다.
니들바(needle bar)
납 주물에 들어 있는 편침이 일정한 간격으로 일직선이 되게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상하운동을 한다. 이것은 편성의 주요 부분이며, 편성에 견딜함한 강도가 필요하고 주입된 편침이 변형되어서는 안된다. 편침은 래치, EH는 비어드 편침을 사용한다.
니들 버트(neegle butter)
래치 편침의 스템에 부착되어 있는 돌출부로서, 캠과 접촉하여 편침을 편성 운동시킨다.
니들 베드(needle bed)
편침이 잭, 슬라이드 캠의 영향으로 작동할 수 있게 홈이 파여 있는 평평한 관, = 침상, 편침판.
니들 실린더(needle cylinder)
환편기에서 편침을 수직으로 꽂는 원통형 금속제.
니들 잭(needle jack)
자카드 편기나 더블 실린더 펴니에서 편침의 운동을 보조하는 요소로, 바늘의 머리가 없는 하나의 보보 편침. 일반적으로 정상편침 밑에서 편침의 운동을 보조한다.
니들 컷(needle cut)
원형 편기에서 실린더의 원주 2.54cm 사이에 있는 편침의 수를 말한다. 초기에는 래치 편침의 밀도를 나타내는 데에만 사용되었다. → 게이지.
니들포인트레이스 또는 포인트레이스(needle point or point needle; hand made)
디자인, 모티프, 패턴, 스타일에 관계없이 한개의 니들 또는 한 가닥 실로 만들어진 모든 레이스를 말한다. 단추구멍 얽기(button hold stitch)가 응용된다.
니들 프로텍트(needle protector)
편침의 덩이(lumps), 슬럽(slub), 다발실(bunched yarn) 등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편기의 전기 장치. 編針保護具.
니들 프레이팅 짧은 양말(needle plating socks)
2공식급사구 편기로 편성한 염사편 무늬의 짧은 양말.
니들 하우징(needle housing)
편침이 담긴 바늘집. 여기에는 세가지 형태가 있다.
① 실린더(cylinder)집 : 원형편기에서 홈이 파인 수직 바늘.
② 니들베드(needle bed) : 평형편기에서 편침이 움직이는 평평한 홈이 파인 관.
③ 다이얼(야미) : 리브나 인터록 형태의 원형편기에 있는 수평 바늘집.
니들 훅(needle hook)
편침 위 끝의 갈고리 모양으로 부분으로서 실을 건다.
니 렝드 양말(knee-length stockings)
길이가 무릎 아래에 이르는 양말.
니 삭스(knee 내찬)
발부터 무릎 바로 아래까지의 길이로 굵은 털실이나 중간 굵기 등으로 짠 양말. 가는 실로 짠 양말은 “니 하이”라고도 부른다.
니 슬랙스(knee slacks)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짧은 바지.(특히 부인용).
니주
→ 풀 카디건, 풀 카디건을 가리키는 와전된 일본어.
니커 보커즈(knicker bocker tweed)
무릎 아래까지 오는 품이 넉넉한 바지. 도련에서 개더를 잡아 조인다. 원래 네델란드의 남자 옷에서 볼 수 있었던 것으로 19세기 후반에 자전거의 보급과 함께 그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으며 스포츠와 여행등에 쓰인다.
니커 보커 트위드(knicker bocker tweed)
표면이 거친 混錦毛織物로서 특히, 마디실, 색실 등을 사용한 것으로 만든 운동복, 니커 보커란 무릎 아래서 잡아 매도록 된 반바지를 말한다.
니커 브리치스(knicker breeches)
바지형의 일종/ 큐롯 형의 무릎 아래까지 오는 바지를 말한다. 넓적다리를 여유있게 무릎부터 아래까지를 밀착되게끔 만들어 수렵용, 자전거용 등에 쓰인다.
니커즈(knickers)
니커 보커즈의 약칭 → 니커보커즈.
니트(knit)
1가닥의 실이 편환을 만들고, 이들 편환이 앞뒤 또는 좌우방향에서 서로 얽혀지는 것. 이와 같이 만들어지는 천을 제편물, 펴넝물 또는 편포라 한다. 편성 또는 니팅이라고도 한다.
니트 게이팅(knit gating)
서로 마주 보고 있는 針床, 또는 다이얼과 실린더에 꽂혀 있는 편침들의 상호관계를 말한다. → interlock gating, rib gating.
니트 벨루어(knit velour)
경편조직, 또는 위편조직으로 편성된 편포 위에 파일 편환이 나타나게 한 편포. 이 파일을 컷하던지, 곱슬곱슬한 상태로 그대로 두기도 한다.
니트 스퀘어 코너(knit square corner)
목이 짧은 장갑의 손목 부분의 마무리 법.
니트 웨어(knit wear)
① 편성에 의해서 만들어진 의류의 총칭으로서, 기계편이나 손뜨개질에 의한 것들을 모두 포함한다, 제품으로는 편성 슈츠, 스웨트, 폴로셔츠, 파운데이션, 속옷, 양말, 모자, 장갑 등을 비롯하여 모든 의류가 있다.
② 앞의 것 중에서 기계편(공업생산)의 제품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③ 니티드 아우터웨어(knitted outerwear)의 약자로서 편성해서 만든 겉옷이라는 뜻으로 쓰이고도 있다.
④ 앞에 것 중에서 패셔닝(편환 늘림과 줄임에 의해서 어떤 모양에 맞게 편포를 형성하는 것) 한 제품 만을, 즉 횡편기와 푸울 패션 편기에 의한 겉옷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 편성 옷.
→ 니트.
니트 위치(knit position)
→ 편성위치.
니트 튜빙(knit tubing)
스웨트, 스커트, 소매 등을 편성할 심(seam)이 없이 편성하는 자루편포지(tubular fabric)를 말한다.
니트 트랜스퍼 톱(knit transfer top)
이 말은 리브편기로 편성되는 양말에 쓰이는 말로, 커프(cuff)나 톱(top)dll 푸팅(footing)의 편침, 혹은 부츠(boot)나 랙(leg), 풋(foot)의 생산을 위한 두 번째 기계에 옮겨져 생산되는 양말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 토핑(toping)이나 이동은 매우 기술을 요하며 각 톱이 개별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톱이 봉제된 것과 비교하면 값이 비싸다. 재봉 톱 속스(top sock)의 커프와 몸통은 EkfhEK로 제편되고 별도 공정에 의해 봉합된다.
미트 패널(knit panel)
en 개의 편조직을 조합해서 편성한 수직 패널 편포를 말한다. 1×1리브편조직에 2×2리브 편조직을 조합시킨 것. 또는 1×1리브 편조직에 턱 편조직을 조합시킨 것 등이 있다. 이것을 패널 리브 니팅이라고도 한다.
니트 플러시(knitted plush)
몇 군데 혹은 모든 편조직에 편사 자신이 만든 파일로 편포의 뒷면을 덮는 것을 말한다. 즉 바닥 실에 파일된 파일 실을 첨가하여 편환 길이가 긴 싱커 루프로 제편하면 편포의 양면 혹은 편면에 파일이 나타나도록 제편하는 것을 말한다.
니티드 베스트(knitted vest)
앞을 단추로 채울 수 있게 한 소매 없는 편성된 조끼/
니팅(knitting)
→ 니트.
니팅 록(knitting locks)
횡편기에서 올림 캠과 내림 캠의 1조를 록이라고 한다. 보통 횡편기는
캐리지에 2조의 캠 록이 있다. 그러나 복식 캠 편기는 많은 수의 캠 장치가 설치된 편기를 말한다. 캠의 조수에 따라 4록, 8록 편기라 부른다.
니팅 링(knitting ring)
굵기가 균일하지 못한 실로 편성하였을 때, 스토킹에 얼룩덜룩하게 나타나는 흠의 dfl종.
니팅 머신(knitting machine)
편포를 편성하는 기계의 총칭. 편기.
니팅 스티치(knitting stitch)
→ 스티치.
니팅 캠(knitting cam)
→ 내림 캠.
니팅 얀 미터(knitting yarn meter)
실이 멀티피드니팅 프레임(multifeed knitting frame)의 편성 요소로 균일하게 드로잉되었는지를 알아내는 장치. 미터는 또한 균일한 품질의 제품이 확실히 만들어 지도록 고안되었다. 얀 미터를 편성 공정의 실에 고른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만들어진 텐션 캄펜세이터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니팅 컷(knitting cut)
원형편기의 침상 단위 폭 사이의 편침 또는 바늘 홈의 밀도, 게이지의 동의어. 보통 2.54cm 사이의 밀도로 나타낸다. → 게이지.
'[일,하며] > 어패럴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Cotton)에 관한 상식 (0) | 2008.02.17 |
---|---|
[섬유제품용어집] "가" 편 (0) | 2007.10.18 |
[섬유제품용어집] "다" 편 (0) | 2007.10.18 |
패션,스타일용어 "라"편 (0) | 2007.10.18 |
섬유의 감별 (0) | 2007.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