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다급사구 평형평기(multi-head flat knitting machine)
코튼식 편기 등과 같이 급사구가 여러 개 있는 평형편기.
다께
→ 길이, 길이를 뜻하는 일본어.
다꾸치다.
→ 고무 테이프 대고 박기. 고무 테이프를 대고 박기의 일본어. 다꾸는 영어의 더크(TUCK)를 일어로 표기한 것임.
다데
→ 날실, 날실을 뜻하는 일본어 다데이도를 줄여서 쓰는 말.
다리(plain leg)
환편기에서 몸체(frame, bed)를 지지하는 다리 중 전동 모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다리.
다리 길이(inside length)
두 다리가 갈라진 곳에서부터 복숭아 뼈까지.
다림질(ironing)
다리미의 열로 구김살을 펴거나 주름을 잡는 작업.
다림질 정리(finishing ironing)
옷을 만드는 과정에서 다림질해서 모양을 정리하는 끝손질 공정.
다림질 판(press board)
옷을 만들 때 또는 다른 옷을 다릴 때 쓰는 솜을 둔 바침대.
다림질 헝겊(press sheet)
다림질 항 때 다리미가 옷에 직접 닿지 않게 덮어 놓은 헝겊.
다마 사라
→ 볼 플레이트.
다마 사라 심봉
→ 다이얼 샤프트.
다시키 셔츠(dashiki shirt)
아프리카 남자들이 주로 입었던 셔츠에서 유래된 것으로 노 칼라에 품과 소매 부분에 여유를 주어 풍성하게 되어 있다. 1960년대 후반과 70년대 초반에 유행하였다.
다운 재킷(down jacket)
다운이란 물새의 털(푹신푹신한 우모)을 말한다. 이 우모를 넣어 누빈 천으로 만든 방한용의 점퍼 스타일의 재킷을 말한다. 겨울용 타운웨어로 젊은이들 사이에 많이 이용되었다. 1980년대초에 많이 유행하였다.
다이
→ 대, 대를 뜻하는 일본어.
다이마루
→ 원형 평편기, 원형 평편기를 가리키는 일본어.
다이아몬드 놉 편조직(diamond knop stitch)
q완전이 42급사구로 형성되며 다이아몬드의 무늬가 나타난다.
다이애거널 봉
재봉선이 능선형으로 된 수봉의 일종.
다이얼(dial)
원형 리브 또는 원형 양면 편기에서 편침을 꽂을 수 있게 방사모양으로 편침홈(trick)이 파여져 이Y는 수평상태의 원형 침상(편침상 참조) 상판, 상가마, 상판가마, 다이얼 니들 베드라고도 함.
다이얼 니들 베드(dial needle bed)
→ 다이얼.
다이얼 루프(dial looper)
양말 발끝 부분을 봉합하는 기계.
다이얼 브레스트(dial breast)
→ 다이얼 침구선단.
다이얼 샤프트(dial shaft)
실린더-다이얼 편기에서 다이얼을 지지하는 축(실린더 캠 링 참조). 베어링 받이 기둥, 중심축.
다이얼 서포트(dial support)
다이얼을 지지하기 위한 몸체에 부착된 기둥.
다이얼 캠 플레이트(dial cam plate)
환편기에서 다이얼 캠이 설치된 원형판.
다이얼 침구 선단(dial verge,dial breast)
다이얼 침구(편침 홈) 끝(편침상, 통살 참조).
다이얼 편침
실린더=다이얼 편기에서 다이얼에 꽂혀 있는 편침 → 상침, 상편침.
다트(dart)
의복 구성에서 평면인 천을 입체로 하기 위하여 삼각형으로 잡는 것.
닥터 덴튼 스리퍼(Dr. Denton sleeper)
발부분까지 몸체로부터 연결된 파자마, 앞과 뒤쪽 엉덩이 부분은 단추로 여미도록 되어 있다. 이 상표는 1895년 유아들과 걸음마하는 아이들의 옷으로 소개되어Tsmsep 지금은 어른들을 위해서도 만들어 지기도 한다. 뒷모양이 토끼를 닮았다고해서 버니수트(Bunny suit)라고도 부른다.
단(course)
① 직물 설계에서는 조직의 1순환을 말한다. ② 편포에서는 가로방향으로 늘어선 편환열을 말한다.
단독 송사 휠
→ 저장식 급사 장치.
단두식 성형편기(單頭式成型編幾, single head fullfashion knitting machine)
성형스웨트, 부인용 긴양말 편기는 한 섹션에서 여러 섹션의 것까지 있는 데 이 편기는 한 섹션 단독운전의 성형식 편기를 말한다. 스토킹에서는 다리 부분 편성과 발 부분 편성이 분리되어 두 섹션으로 편성되는 것과 동일 편기에서 완전한 섹션으로 편성하는 것이 있다.
단속곳
여자의 치마 속 바지 위에 덧 입는 속곳.
단수(number of course)
코오스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편환의 줄(course)수를 말한다.
단식 캠 편기(single lock knitting machine)
횡편기와 같이 캠이 한줄로 배열된 편기를 말하고, 양면 횡편기와 같이 캠이 두 줄로 배열된 편기를 복식 캠 편기라 한다.
단자크
→ 겉단, 겉단을 뜻하는 일본어. 원래는 좁은 단을 뜻함.
단쯔께
칼라밴드박기. 칼라 밴드 박기를 뜻하는 일본어.
단추(Buttons)
주로 옷을 여미기 위해 쓰이는 것으로 원형, 사각형, 삼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진 의상의 부속이다. 또한 옷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용으로도 쓰임으로 해서 옷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기도 한다. 재료로 뼈, 쇠, 유리, 플라스틱 천, 조개껍질, 보석류, 나무, 가죽 등 다양하며 의상에 매치시켜 사용한다.
단추구멍(buttonhole)
단추를 끼우기 위해서 뚫는 구멍.
단추구멍 감치기(button holing machine)
단추 구멍 감치기는 단추구멍의 가장자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봉제하는 미싱으로, 단추구멍의 형태에 따라 셔츠류의 구멍과 같이 一자 모양의 단추 구멍을 봉제하는 一자형 감침틀과, 양복 단추 구멍과 안쪽에 둥근 구멍이 생기는 비둘기 눈 모양을 감침하는 비둘기 눈 형 감침틀이 있다. 구멍을 감칠할 �에는 이동에 의하여 봉침이 이동하여 솔기를 먼저 만들고 다음에 솔기의 중심을 칼이 내려가 생지를 절단하여 구멍을 낸다. 솔기의 피치 등은 자유롭게 조정이 된다.
단추 구멍기(button hole machine)
나이프로 자동적으로 단추 구멍을 뚫고 그 가장자리를 감침질하는 1개 바늘의 재봉틀, 봉침 뒤에 커터가 장치되어 있고 기계뒤에 있는 캠의 작동으로 예정된 구멍에 따라 생지가 송출되므로 봉침은 일정한 위치를 상하운동만 함으로써도 구멍의 주위를 감침질할 수 있다. 이것이 끝나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 왔을 때 커트(칼)가 내려가 감침질한 내부의 생지를 절단하면 단추구멍에 감침질한 것이 된다. 또한 구멍의 형태에 따라 구멍의 감침 방법이 달라진다.
단추구멍 얽기(buttonhole stitch)
단추 구멍 위치에 실로 버튼홀 스티치를 하는 것.
단추달이(button sewer)
단추를 옷에 부착시키는 사람. 옷에 맞는 단추를 골라 표시한 자리에 손으로 꿰매 다는 사람과 자동적으로 단추를 옷에 부착시키는 단추달이 틀을 조작하는 사람 등 두 종류로 분류된다.
단추달이기(button sewing machine)
이 미싱에는 단추를 파지하는 장치가 있어 봉침이 내려갈 때 단추 구멍과 일치하는 위치에 손으로 단추를 끼우고 봉침이 상하 운동을 하여 단추를 다는 것이다. 손으로 단추를 끼우는 작업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단추가 바늘 밑으로 공급되는 장치도 있다.
단추집(fly front)
단추나 지퍼가 옷 표면에 나타나지 않게 단추 단을 안에다 덧 붙인 것.
단침상 라셀편포(raschel single needle bar fabrics)
한 �의 니들 바(needle bar)로 만드는 편포로, 커튼, 망사, 베일 둥과 같은 석이 비치는 천에 사용한다.
단환봉(單環縫, single thread chiain stitch)
1올의 바늘실로 루프를 연쇄시키는 것으로 솔기는 신축성이 좋고 이러한 봉제용 재봉틀을 단환봉 재봉틀이라고 한다.
단환 재봉기(單環裁縫機, single chain stitch machine)
環縫 S環이라고도 한다. 박은 땀은 한 가닥의 바늘실에 의한 루프가 연속한 사슬 모양으로 되어 있어 신축성이 풍부하다. 편포의 바탕 박음, 몸판,소매 달기, 깃 달기, 명찰 달기 등에 사용되지만 박은 땀이 잘 풀리는 것이 결점이다.
닫힘 편환(closed loop)
→ 클로즈드 루프.
달기(attachment sew, set, joint, put)
길 과 소매, 칼라 또는 단추 등을 꾀매 붙이는 것을 말함.
담복
喪中에 있는 사람이 담제 뒤로부터 길제 전에 까지 입는 옷. 흰 것도 있고 옥색의 것도 있다.
답부
→ 버트.
당건(唐巾)
옛날 중국에서 쓰던 관의 일종. 당나라때에는 임금이 많이 썼으나 그 후에는 사대부들이 사용하였다.
당의(唐衣)
여자 예복의 한 가지. 중국에서 건너 온 제복으로 옆이 트였으며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은 길다. 겉은 초록색 비단이고 안은 담홍색의 보통 천, 깃과 고름은 자주빛으로 가슴에 봉화을 수놓은 흉배가 있다, 다홍색이나 남색 스란치마 위에 입으며 왕비, 궁녀 또는 사대부의 예복으로 입었다. 당저고리.
대(table)
도구나 재료를 받쳐 놓거나, 펼쳐 놓는데 쓰이는 상.
대금(帶金)
→ 편침띠.
대님
남자의 한복에서 바지를 입은 뒤에 그 가랑이 끝쪽을 접어서 가든하게 발목을 졸라매는 좁다란 끈.
대례복(大禮腹)
나라의 중요한 의식 때에 벼슬아치가 입던 예복. 고종 10년(1906)에는 行幸, 謁見(알현) 때에 입었다.
대아리
→ 타이밍, 타이밍을 가리키는 와전된 일본어.
대야이
→ 타이밍, 타이밍을 가리키는 일본어의 와전된 말.
대환기
→ 원형 평편기.
대환편기(latch needle plain fabric circular knitting machine)
→ 원형 평편기.
댕기
① 여자의 길게 땋은 머리 끝에 드리는 헝겊이나 끈. 보통은 자주빛이나 검은 빛의 것을 쓰지만, 상제인 경우는 흰 것을 쓴다. 또는 어린 여자애들의 머리를 곱게 꾸미기 위하여 머리칼에 매는 고운 헝겊. 평상시에 쓰이는 댕기와 의식용 예복이나 경사에 쓰이는 도투락 댕기가 있다. 甲紗댕기가 고급으로 되었다. ② 넥타이.
더미 바늘(dummy needle)
훅이 표준보다 큰 편침으로서 편침 빼기, 또는 편침의 홈 위치를 명시하기 위해 해당 편침의 홈에 삽입하는 데 사용하는 편침.
더미 버튼 홀(dummy button hole)
구멍을 뚫지 않고 장식용 목적으로 표면을 감침질만 한 단추구멍의 형태.
더블 니트(double knit)
→ 더블 저지.
더블 다이애거널 스티치(double diagonal stitch)
손바느질(hand stitch)의 일종으로, 편포 표면의 바느질 땀이 지그재그 모양으로 바느질된 것.
더블 덴비 편조직(double denbigh stitch)
두개의 가이드 바의 경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래핑(lapping)하면서 싱글 뎁비 편조직을 형성한 것으로, 싱글 덴비 편조직이 겹쳐진 이중 편조직을 말한다. 이 편조직은 각 편침에 편환이 2중으로 겹치고, 웨일과 웨일을 연결하는 싱커 루프는 직물과 같이 교차되어서 튼튼한 편포가 된다.
더블렛(doublet)
몸에 꼭 맞는 조끼로 소매는 없으나 때로 길이가 짧은 캡(cap)소매를 달기도 한다. 대개 앞면을 끈을 여미도록 되어있고 가죽으로도 많이 만든다. 15세기에는 남성들만이 입는 조끼였으나 오늘날에는 남성, 여성, 아동 모두 즐겨 입는다. 특히 주니어들에게 귀엽고 발랄하게 어울린다.
더블 브레스티드(double breasted)
앞가슴에 양쪽 2줄로 단추가 달린 앞여밈의 코우트를 말한다. 한줄로 잔추가 달린 싱글 블레스트의 상반되는 명칭이다.
더블 로우 봉(double row stitch)
재봉선이 2열직선형의 수봉의 일종.
더블 록(double lock)
양면 횡편기와 같이 캠록이 2줄로 배열된 것을 말함.
더블 록 심(double lock seam)
여성용 내의류나 다른 기성복에 사용한 미싱솔기.
더블 리브 편조직(double rib stitch)
→ 양면 편조직.
더블 바 코드 편조직(double bar cord stitch)
두 개의 가이드 바의 경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각 싱글 코드 편조직을 형성한 것으로, 싱글 코드 편조직이 겹쳐진 2중 편조직을 말한다.
더블 반다이크 편조직(double vandyke sticth)
싱글 반다이크 편조직을 2중으로 중복시킨 편조직. 경편 조직의 일종으로서, 2장의 가이드 바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매 코오스마다 이동하면서 언더 래핑을 여러 코오스 반복한 다음에 방향을 바꾸어 언더 래핑하는 편조직이다. 색실을 배열하면 다이아몬드 무늬가 수게 얻어지므로 다이아몬드 편조직, 또는 더블 애틀러스 편조직이라고도 부른다.
더블 블리스터 편조직(double blister stitch)
리브 편조직에 웰트를 응용한 편조직으로 2코오스에 걸쳐 선침된 실린더 편침만 니트시키고, 다이얼 편침은 웰트시킨 편조직이다.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
니들 버트의 위치가 높은 버트와 낮은 버트 2종류 바늘의 교대장치로 양면 편기의 편성운동이나 그러한 편침이 배치된 원형 밀러니이즈 편기에서 높은 바트 바늘의 그룹이 상하 운동을 한 후 낮은 버트 바늘의 그룹이 상하 운동을 하는 편성 운동을 말한다.
더블 스티치드 심(double stitch seam)
코드 스티치와 마찬가지인데, 다만 이것은 밑 부분이 넓어지고 부번 스티치 한 것을 말한다. 랩 스티치라고도 한다.
더블 저지(double jersey)
2열 편침상 편기로 편성되는 외의용 편포를 말함.
더블 크로스 턱 편조직(double cross tuck stitch)
평면에 1×1을 응용한 편조직.
더블 톱(double-top)
완전성형 또는 시임리스 스토킹의 웰트를 말한다.
더블 트리코트 편기(double tricot machine)
심플렉스(simplex)라고도 불리며 탄성 편침, 또는 파이프 편침을 사용하는 평형 경편기로서, 장갑 등을 만드는 양면 편포가 편성된다. 침상이 2열로 되어 있는 트리코 편기이다.
더블 트리코트 편포(double tricot fabric)
2열 침상(needle bar)와 트리코 편기로 편성한 편포. 심플렉스 편포라고도 한다.
더블 피케(double pique)
리브편에 웰트를 응용한 편조직으로서, 1완전이 4코스이다. 이 편조직에는 스위스식 더블 피케와 프랑스식 더블 피케가 있다. 이 편포는 신사용 또는 아동용 겉옷에 널리 쓰이는 더블 저지이다.
① 스위스식 더블 피케 편조직의 편성 방법은
제1코스 : 다이얼의 짧은 편침만으로 니트(knit)하고, 나머지 모든 편침은 웰트(welt)한다.
제2코스 : 다이얼의 긴 편침과 실린더의 모든 편침은 니트하고 다이얼의 짧은 편침은 웰트한다.
제3코스 : 다이얼의 긴 편침만으로 니트하고 나머지 모든 편침은 웰트한다.
제4코스 : 다이얼의 짧은 편침과 실린더의 모든 편침은 니트하고 다이얼의 긴 편침은 웰트한다.
② 프랑스식 더블 피케 편조직의 편성 방법은,
제1코스 : 다이얼의 짧은 편침과 실린더의 모든 편침은 니트하고, 다이얼의 긴편침은 웰트한다.
제2코스 : 다이럴의 긴 편침만 니트하고, 나머지 모든 편침은 웰트한다.
제3코스 : 다이얼의 긴 편침과 실린더의 모든 편침은 니트하고, 다이얼의 짧은 편침은 웰트한다.
제4코스 : 다이얼의 짧은 편침만 니트하고, 나머지 모든 vusc;a은 웰트한다.
더블 피케 편조직(double pique stitch)
리브 편조직에 웰트를 응용한 편조직으로 1완전이 4코오스로 형성되며, 각 코오스 마다 웰트를 응용해서 표면과 이면의 코오스 수를 같게 한 편조직으로 스위스식 더블 피케와 프랑스식 더블 피케가 있다.
더비 리브 편조직(derby rib stitch)
6×3 리브 편조직을 말하며, 주로 양말에 이용됨.
더스터(duster)
일반적으로 가벼운 천으로 만들어 몸을 싸듯이 쉽게 걸치는 코트로서 20세기에 처음 등장한 지붕없는 차를 탈 때 여름 옷을 보호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코트이다. 더스트 코트(dust coat), 더스트 클럭(dust clock), 더스트 랩(dust wrap)이라고도 불리운다.
더치 칼라(dutch collar)
목에 딱 붙는 작은 칼라 끝은 각이 지거나 둥글게 되어 있다. 램브란트, 프란츠 할스 같은 네델란드의 유명한 화가 등 더치인들이 많이 애용하였기에 더치 칼라라는 이름으로 불리워졌다.
더플 백(duffel bag)
끈을 잡아 당겨서 묶는 캔바스지로 만든 가방. 시초는 군인과 해병들이 자기의 소지품을 넣어가지고 다닌데서 힌트를 얻어 디자인되었다.
더플 재킷(duffel jacket)
나무 단추를 끈으로 걸어서 더블로 여미게 되어있는 두꺼운 모직으로 된 재킷이다. 어부와 군인들이 많이 착용하였으며 2차 대천후 스포츠 코트로서 일반인에게 유행하게 되어T으며 후드가 달려있다.
넉 칼라(dog collar)
목에 딱 붙어서 있는 밴드 칼라 일명 초커(chocker)칼라라고도 한다.
던들(dirndle)
야성용 의복으로서, 바스트와 허리가 죄어진 폭 넓은 스커트로 된 옷인데 마치 미국 서부 개척기의 여성복과 비슷한 실루엣으로 되어있다. 오스트리아에서 유래한 의상.
던들 드래스(dirndle dress)
미국 개척시대의 여성들이 많이 입었던 실루엣과 비슷한 형태로 알프스 산맥지역 농가의 여성들이 입었던 드레스에서 힌트를 얻어 디자인된 것으로 대개 컬러 프린트지 옷감으로 가슴은 꼭 맞게 하고 홀 개더 스커트 형태. 1930년대에 유행하였다.
던들 스커트(dirndle skirt)
허리 부분은 주름을 잡고 아래는 작선으로 뻗은 스커트. 오스트리아 티롤지방의 농민들 전통의상에 연유하여 폭이 �은 스커트와 비슷하다고 하여 던들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덛박기
→ 상침.
덧버선(socks cover)
겨울철 발의 보호를 위해 양말 위에 신는 양말을 말한다.
덧붙임 솔
바느질감에 딴 천의 시접을 접어서 덧대놓고 시침질한 다음 눌러 박은 것. 올이ㅣ 잘 풀리지 않는 두꺼운 감에 많이 쓰인다.
덧실 편조직(plating stitch)
두 종류의 실을 동시에 급사해서 하나는 편포의 표면에, 다른 하나는 이면에 나타나도록 편성한 편조직으로, 편침의 헤드 가까이에 급사되는 실이 편포의 이면을 형성한다. → 첨사 편조직.
덩가리(dungaree)
인도어로 덩가리라고 하는 것은 인도 고아 지방에서 직조된 면직물을 말한다. 이 감은 17세기에 네델란드에 속해 있던 말레이시아의 도서지방을 포함한 여러 곳으로 수출되었고 특히 영국으로 수출하는 인도의 중요한 수출품이 되었다. 네델란드인들은 이 감을 던가리스라고 했다. 데님과 비슷한 이 감은 경사 위사 모두 청색으로 염색이 되어 능직으로 직조된 것으로 불루 덩가리 또는 불루�(bluettes)이라고도 한다. 덩가리라는 말은 오늘날 질긴 작업복 바지나 앞바대와 어깨끈이 부착된 긴 바지 등을 일컫는 말로 되었다.
데님(denim)
경사 Ne20 이하의 색실, 위사에 경사보다 가는 표백실 또는 색실을 이용하여 능조직 또는 경 주자 조직으로 짠 두꺼운 직물이다. 질기고 용도는 사염 면직물로서 아동복, 작업복 등에 이용되며, 넓이가 2/1 투읠 또는 3/1트윌이다. 두꺼운 직물이고 능선은 우상향으로 되어 있다. 뒷면은 백색이고 표면은 곤색으로 선염하고 위사는 미표백 실을 사용하며, 경사가 표면에 많이 나타나 곤색으로 되고, 위사가 뒷면에 많이 나타나 희게 보인다. 데님에는 위사에 백색과 흑색의 혼방사를 이용한 것도 있다. 또 적갈색의 겨사로 한 다색 데님도 있고 그 밖에 줄무늬와 cpr 무늬가 있는 것도 있다. 결이 큰 데님은 외투용, 덩가리(dungaree)와 노동복에 이용되나, 얇은 데님은 스포츠 데님이라고 하여 침염하거나 날염하고 또 부드러운 가공을 하여 야외복, 가구용 등에 쓰인다. 데님이라는 말은 프랑스의 sergede nime의 뜻인데, 능직에서 프랑스의 nimes 지방에서 만든 것이라는 의마다. 덩가리(dungaree)라고도 하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뒷면 백색 데님(white back denim)
② 위사에 흑색의 굵은 실과 표백하지 않은 굵은 실을 꼬임을 준 모틀사(mottle yarn)를 이용한 더블 앤드 트위스트 데님(double and twist denim)
③ 다갈색으로 염색한 경사를 이용한 갈색 데님(brown denim)
④ 위사에 붉게 염색한 위사를 위입한 레드 백 데님(red back denim)
⑤ 흑염한 위사.
또 용도별로 분류하면,
① 의류용 데님(clohing denim)
② 실내 장식용 데님((upholstey denim)]
③ 가구용 데님(furniture denim)등이 있다.
미국의 뒷면 백색데님(white back denim)의 규격은 직기상에서
71.2cm폭 60×36올 453.6g당 219.46cm
71.2cm폭 60×43올 453.6g당 201.17cm
71.2cm폭 68×42올 453.6g당 182.88cm
71.2cm폭 70×40올 453.6g당 162.76cm
또, 다른 종류로는 직기상에서,
71.12cm폭 22.68g당 뒷면 흑색
71.12cm폭 453.6g당 219.46g 뒷면 茶色
71,12cm폭 453.6g당 219.46g 청색과 금색 줄무늬
71,12cm폭 453.6g당 256.03g D and T
91.44cm 74×50올 453.6g 251.46cm 스포츠웨어용
91.44cm 70×38올 453.6g 228.6cm 흰색 줄무늬
영국의 뒷면 백색 데님의 규격은 직기상에서 폭 68.54~91.44cm인데 다음과 같다.
경사 Ne20 × 위사 Ne22(백색) 58×58올 보통품
경사 Ne20 × 위사 Ne14(백색) 90×52올 고급품
일본의 규격은 수출 견본(swatch)으로,
#30302/1능경Ne8 × 위Ne14 79 × 49올 70.12cm
#3031/1능경Ne10 × 위Ne12 76 × 49올 70.12cm
내수용 규격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4호 3/1능 Ne 10 × 12 61×40올 71.12cm
5호 3/1능 Ne 10 × 10 74×41올 76.20cm
8호 3/1능 20/2×20/2(mottle) 60×40올 76.20cm
10호 3/1능 20/2(mottle)×20 74×45올 76.20cm
데님 팬츠(denim pants)
데님으로 만든 실용적인 바지. 짙은 청색의 경사에 회색 혹은 표백하지 않은 위사로 직조된 것을 불루 데님이라 부르며 두꺼운 데님은 재킷이나 스커트, 바지용으로 또 얇은 데님은 블라우스, 스포츠 셔츠용으로 그 외에 실내장식품 제작에도 많이 사용된다.
데미(demi)
아랫부분은 불투명하고 받침 철사를 사용했고 윗부분은 비치는 천으로 만들었다. 깊게 파진 브라로서 목선이 깊게 파인 옷을 입을 때 착용한다.
데미 부츠(demi-boots)
발목까지 오는 부츠. 하프 부츠(half-boots)라고도 한다.
데비쉬 스커트(devish skirt)
하렘 팬츠와 비슷한 스타일에 회교도의 수도승들이 입는 것과 같은 스커트로 대게 드레이프성이 좋은 쉬폰이나 실크저지 등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1967년에 유행하였다.
데어니어 크리(dernier cir)
프랑스어로 ‘최신의 패션’이라는 의미. 데미니어 모트(dernier mot)라고도 한다.
데일컬리언 레이스(dalecurlian lace)
200년전에 만들어 졌던 스위스 레이스로서, 보통 담갈색 또는 담황색상으로 주름 가장자리 등에 사용한다.
데코레트(decolletage or decollete')
어깨에서 앞가슴이 보일 정도로 길게 파진 네크라인.
데코레트 브라(decollete' bra))
가슴선이 깊게 파진 브라. 브라의 아랫부분은 주로 철사를 사용한다. 가슴d 깊게 파인 드레스를 입을 때 착용한다.
덱(deck)
무릎 바로 밑까지 오는 길이의 딱 맞는 바지로서 1950~60년대에 보트 탈 때 입는 바지로 유행하였다.
덱 팬츠(deck pants)
남자용 겉바지의 하나로, 선박의 갑판원들이 작업복으로 사용하며, 무릎 밑으로 길게 내려온다.
덴비 편조직(denbigh stitch)
트리코트의 기본 편조직으로서, 1가닥의 실을 인접한 2개의 편침 위에 교대로 랩핑(lapping)하여서 얻어진 것이다. 1×1(1/1) 트리코트ㅡ 편조직이라고도 한다.
덴삥
→ 실채기. 실채기를 뜻하는 일본어.
덴텔 디플리카시온(dentelle d'application)
그물 편조직의 바탕에 무늬가 있는 레이스.
덴 텔 드 라 베르쥬(dentelle de la vierge)
디에프 포인트 레이스(dieppe point lace)보다도 폭이 넓은 레이스.
덴텔 드 필(dentelle de fil0
토쳔 레이스(TORCHON LACE)와 같은 실레이스의 총칭.
덴텔 오 퓨소오(duntelle au fuseau)
퓨소오는 보빈의 뜻이다. 이것은 보빈 레이스를 말한다.
도그(dog)
실린더-다이얼 편기에서 실린더 gjl전을 다이얼에 전달시키는 기소이다. 실린더-다이얼 편기에서 다이얼을 구동시키는 방법에는 도그식과 도그레스(dogless)식이 있다. 고속 환편기등은 도글레스식이 많다. 베어링.
도글레스(dogless)
더블 니트 편기에서 다이얼을 회전시키는 방법에는 도그 또는 베어링 식이 있는데, 도글레스식은 기어 장치에 의하여 다이얼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양면편기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도그 마크(dog mark)
실린더-다이얼 편기의 편성시 조그에 의하여 나타나는 줄무늬 흠. 베어링 줄.
도돗(애앳)
법정에서만 입는 사롱(sarong)의 하나. 이 옷을 입은 사람의 몸 둘레는 축 늘어져 보인다.
도라이바
→ 드라이버. 드라이버를 일본어로 표기한 것.
도랑치마
무릎이 드러날 만큼 짧은 치마.
도련
저고리나 두루마기 자락의 가장자리.
도련단(hem)
재킷 도련, 스커트 도련, 소매나 바지 부리의 끝에 옷감의 잘린 올이 풀리지 않게 접어 꾀맨 부분.
도련박기(hem sewing)
홋옷의 도련시접을 가늘게 접어 박는 일. 예를 들어 적삼, 와이셔츠의 도련, hemmer을 이용하기도 한다.
도받침
횡편기의 눈금판에 부착된 기소(눈금판 참조)
도포(道袍)
지난 날 통상 dP복으로 입었던 웃옷. 옷길이가 길어 발등에 미치고, 소매는 넓고 길며 아래로 테가 달렸다. 4폭이며 등 뒤에 따로 수직이 있어 뒷자락을 덮어 가리게 한 풍성한 통옷. 옛적에는 사대부와 유생의 상복도 되고 또 통상용 예복도 되던 것이나 그 뒤 다른 예복이 모두 없어 지면서 남자의 이것이 유일한 예장처럼 되었던 것이다. 도포는 원래 특권적인 것으로서 하층 사람들이 입는 것을 허락지 아니하였었다. 도포의 기원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살이 있으나 승복에서 왔다고 하는 설이 있다.
돌려박기(back tack)
솔기의 끝 등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박은 선 위로 다시 덧박는 것.
돌만(dolman)
① 경기병들이 입는 소매 없는 재킷. ② 터키인들이 입는 앞이 터지고 소매가 꼭 끼는 긴 외투. ③ 돌만 소매로 된 케이프, 또는 코트.
돌만 소매(dolman sleeve)
터키인이 사용하는 돌만이라는 소매를 닮은 소매를 말한다. 소매 둘레가 깊고 여유가 있으며 손목 가까이는 꼭 끼는 긴 소매가 특징이며 소매를 다는 솔기나 위치는 어디에 있어도 좋다. 돌만의 변형이 여러 가지 나타났다.
돌만 재킷(dolman jacket)
여러 줄의 쇠줄이나 끈으로 어깨에 장식한 구라파 병사들이 유니폼으로 착용하였던 재킷.
돔 스커트(dome skirt)
돔이란 둥근집을 가리키는 것으로 반구혀의 실루엣을 지닌 벨 스커트(bell skirt)와 비슷하며 스커트 보다는 히프부분에 풍성함을 주어서 더 입체적으로 보인다.
돗 대시 박음(dot dash stitch)
새들 스테치(saddle stitch)의 하나이다.
돗또
→ 스�
돗 앤드 대시봉
봉환 간격을 일정하게 한 직선형 수봉의 하나.
동달이
군복의 한가지. 붉은 소매를 단 검은 두루마기로 뒷솔기가 길게 갈라졌다.
동복
冬服. 겨울철에 입는 옷. 겨울 옷.
동시 타이밍(synchronized timing)
다이얼 편침과 실린더 편침의 편성점이 일치하는 타이밍으로 자카드 편포나 2×2 리브 편포의 편성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자카드 타이밍 또는 2×2리브 타이밍 이라 한다.
동옷
남자가 입는 저고리.
동정
한복에서 저고리 깃 위에 조붓하게 덧꾸는 흰 헝겊 오리.
2동치마
치마연의 하나. 허리의 아래 위 양쪽을 두 가지 빛으로 하여 만든다.
두건(頭巾)
남자 상제나 복인이 머리에 쓰는 베로 만든 쓰개의 한가지. 위를 막고 밑을 네모지게 만든다.
두렁이
어린아이의 배와 아랫도리를 둘러주는 치마같이 만든 옷의 하나. 겹 또는 솜을 두어서 만든다.
두루마기
주로 외출할 때 입는 우리나라 고유의 웃옷의 하나. 옷자락이 무릎 아래까지 내려 오며 무, 섶, 깃 등이 있다. 솜두루마기, 홑두루마기, 겹두루마기, 박이두루마기 등의 구별이 있어서 철에 따라 갈아입는다.
두 바늘 바느질(double row stitches)
병렬로 된 2올의 바늘에 의하여 동시에 2열의 솔기를 만드는 재봉법, 두 바늘 환봉과 같은 것을 말한다.
두 바늘 재봉틀(too neddle chain stitch machine)
2개 바늘 미싱에서는 2개 바늘 미싱, 가는 2개 바늘 미싱, 통 2개 바늘 미싱이 있으나 언제나 봉침 2개, 루프 2개로서 2개의 바늘이 동시에 원단을 뚫어서 2올의 윗실이 밑실과 만나 솔기를 만들고 있다. 솔기가 강하여 보강봉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라운드 넥셔츠의 깃둘레를 박는 경우, 바인더(binder)를 붙여서 깃천붙이기를 연속해서 붙일 수 있다.
두올 오버록 스티치(two thread overlock stitch)
바늘실과 루프사가 한 올씩 사용된 오버록 스티치. 보통 루프사는 2올 이지만 한 올을 생략하는 경우와 두올 전용기가 있으며, 허리단이나 GPA 라인의 재봉에 사용된다.
뒷길(bodice back)
저고리(상의)에서 소매와 칼라를 제외한 부분 중 뒤쪽을 말함.
뒤집어짓기
겉을 안으로 뒤집어서 옷을 만드는 일.
뒷판
→ 뒤길
뒤품
어깨점에서 뒤 진동 둘레를 따라 겨드랑 지시점 까지의 길이를 이등분하는 점에서 반대편까지의 길이.
뒤 허리띠(half belt)
뒤에만 부분적으로 다는 벨트로 옆선이나 다아트에 기워 박는다.
뒷솔기(seat seam)
양복 바지 뒤의 중심 솔기.
드라이버(driver)
나사못을 틀어 돌려서 박거나 빼는데 사용하는 도구.
드럼 자카드 편기(drum jacquard knitting machine)
패턴 드럼에 선침되어 자카드 무늬를 편성하는 환편기를 말한다. 패턴 휠을 사용하는 것을 패턴 휠 편기라고 한다. 패턴 드럼, 패턴 휠.
드레드 프레스(thread presser)
비어드 편침을 사용하는 원형 밀라니스 편기에서 편사를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편성요소.
드레스(dress)
드레스는 고대 이집트의 복장에서 유래됐고 오늘날의 원피스 드레스와 같은 형태의 원통형의 의복이 사용되었던데서부터 시초가 되었다. 원피스 드레스의 정의는 상의부분과 스커트부분이 이은 자리가 있고 없고에 관계없이 한 조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옷을 칭하며 일반적으로 여성들이나 여아들에게 입혀지며 상하의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다른 의상과 달라서 드레스는 단품이기에 비교적 입기가 쉬우며 악세사리만 잘 조화시킨다면 보다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드레스 베스트(dress vest)
야외 정장용의 조끼로서 가슴에 깃벌림이 깊게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파여 있으며 싱글 혹은 더블로 단추가 세 개 또는 네 개, 때로는 두개만 단다. 숄칼라, 테일러드칼라 등 여러 종류의 칼라를 같은 천으로 때로는 드레시한 주자조직의 천으로 만들어서 달린다. 일명 턱시도 베스트라고도 부른다.
드레스 부츠(dress boots)
여성용 : 길이는 종아리 중간에서부터 허벅지 중간까지 다양하며 그 시대마다 유행하는 뒷굽을 달고 있다.
남성용 : 길이는 발목 높이 정도이고 부드러운 가죽으로 만들며 앞모양은 단순하다.
드레스 셔츠(dress shirt)
정장 수트나 턱시도 밑에 입혀지는 남성용 셔츠로 앞가슴 부분은 ekstnsgkrpbudbud하거나 주름이나 러플로 처리했고 칼라는 주로 네크에 밴드가 달려있고 넥타이와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 되었다.
드레스 장식용 리이스(dressing selvedge)
드레스의 가장자리를 장식하기 위한 레이스로, 주로 자수 레이스나 라셀 레이스가 사용된다.
드레스 코트(derss coat)
남자용 야회복으로, 원단은 흑색 무지 직물. 상의의 뒷부분이 길게 늘어져, 제비꼬리를 닮아 연미복이란 이름이 붙게 되었다.
드레스 팬츠(dress pants)
소재나 스타일이 야회복에 적당한 바지들을 말한다. 이브닝웨어로 착용하기에 대개 벨트고리가 없고 딱딱한 벨트보다는 드레시한 천으로된 벨트 등을 매게된다.
드레싱 가운(dressing gown)
몸치장을 할 때 까지 하의나 잠옷 위에 입는 화장용 가운을 말한다. 길이는 무릎까지 이고 수세미형 깃으로 있으며 품은 여유있게 하여 띠로 묶게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드레싱 샥크(dressing sacque)
벨트가 없이 허리에 느슨하게 맞는 긴팔의 드레시한 블라우스로 대개 화사한 가벼운 소재로 만들거나 또는 실내에서 잠옷이나 속옷 위에 쉽게 걸치는 상의를 말하기도 한다. 17세기 말기와 18세기 초에 유행하였으며 20세기 초기에 집에서 정장할 때 많이 착용되었다.
드레이프(drape)
편포가 보유하고 있는 탄력성과 충실성을 표현하는 말로, 편포를 걸었을 때 드리워지는 상태를 말함.
드레이프드 스커트(draped skirt)
입체적으로 주름을 잡은 스커트. 늘어뜨린 주름이 우아한 느낌을 주기에 대개 이브닝웨어 디자인에 많이 이용된다.
드레이프드 엘보 소매(draped elbow sleeve)
팔꿈치까지는 직선으로 팔꿈치에서부터 넓게 보이도록 입체적으로 드레이프가 져 있는 소매. 17세기와 18세기에 유행하였다.
드레이프드 팬츠(draped pants)
입체적인 주름으로 된 바지의 총칭. 허리에서부터 힙근처에 여러개의 입체적인 주름을 잡는다던가 양쪽 포켓 주위에 드레이프지게 주름을 잡아서 엉덩이 주위를 과장되게 보이게 하는 디자인의 바지를 말한다. 1980년대 초기에 유행하였다.
드로우(draw)
편성된 편포를 아래로 끌어당기는 동작으로서, 싱커 휠 편기 등에 사용된다.
드로우 스트링(drawstring)
목 주위에 끈을 넣어 잡아당겨 주름이 생긴 네크라인을 말한다. 일명 피젼트, 혹은 짚시 네크라인이라고도 불리운다.
드로워(drawers)
① 바지 안에 입는 고무줄이 부착되어 있는 남자용 속바지.
② 상하에 고무줄이 부착되어 있는 짧은 여자용 속바지. 가장 통속적인 부인용 내의 이지만 양장의 본격화와 기호의 변화에 따라 차츰 수요가 줄어 팬티에 대체되어져 입고 있다. 무릎까지의 길이를 3푼, 무릎 아래까지를 5푼, 종아리까지의 길이를 7푼 드로워라 한다. 원단은 환편 감으로 소재는 면, 모 합성 등이다.
③ 면포 또는 메리야스감으로 만든 상하에 고무 밴드가 부착되어 있는 여자용 내의.
드로스트링 셔츠(drawstring shirt)
끈으로 잡아 당겨서 풍성하게 보이는 블루종된 셔츠로서 요크와 소매가 달려 있으며 엉덩이를 가리는 약간 긴 길이로 바닷가에서 수영복 위에나 반바지 위에 입는 경우가 많다.
드롭 숄더 소매(drop shoulder sleeve)
어깨선에서 2~4인치 떨어져 늘어지게 달린 소매.
드롭 웨이스트(drop waist)
→ 웨이스트 드레스
드리즐 재킷(drizzle jacket)
이슬비가 내리는 것을 의미하는 드리즐은 비가 올 것 같은 날씨에 입는 재킷이며 스포츠용 재킷으로 많이 착용한다.
드리 피스(three pieces)
세 개가 한 벌인 옷. 신사복에서는 상의, 조끼, 바지가 한 벌이며, 부인복에서는 상의, 블라우스, 스커트 한 벌, 또는 상의, 조끼, 스커트 한 벌 등의 모둠을 말한다.
등거리
① 홑적삼 모양으로, 일할 때 등에 걸치는 마직옷. 조끼처럼 깃이 없고, 주머니를 달기도 하며 솜매를 짧게 하거나 아주 없게 만든다. ② 조끼.
등길이
뒷 목점(제7경추점)에서 등의 표면을 따라 허리선까지의 길이.
등솔기
옷의 뒷길을 맞붙여 중심선을 꿰맨 솔기.
등어깨
등 중심 진동선에서 어깨를 거쳐 겨드랑까지의 길이.
등판
→ 뒤길
디너 재킷(dinner jacket)
야회 모임에 알맞은 남성용의 재킷. 엉덩이까지 내려오는 기장의 재킷으로 대개 숄칼라이거나 각이 진 테일러드 칼라로 되어 있고 칼라를 새틴천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시초에는 남성들만이 착용하였으나 여성들도 착용하게 되었다. 소매는 벨벳, 벨레틴 등을 많이 사용한다. 일명 턱시도 재킷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디린에이터(delineator)
앞으로 유행될 의복이나 장신구에 대해서 어느 정도 예상하여 그 패션과 형을 떠서 기고하는 사람.
디바이디드 스커트(divided skirt)
디바이디드란 나누어졌다는 의미로 바지같이 보이는 스커트를 말한다. 일명 큐롯(culotte)스커트라고 부른다.
디바이딩 싱커(dividing sinker)
비어드 편침 위편기에서 공급된 실을 편침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싱커.
디바이딩 휠(dividing wheel)
루프 휠 편기의 부품으로서, 블레이드가 부착된 휠이다. 루프 휠에 의해서 만들어진 뉴 루프를 균일하게 한다.
디번셔 레이스(devonshire lace)
영국의 디번셔산의 레이스로, 트롤리 레이스(trolley lace)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작은 나뭇가지 모양의 무늬로 편성하고 있고 그 나뭇가지 모양의 무늬 둘레가 보빈으로 넷을 짠 것이다.
디시대샤(dishdasha)
수세기 동안 이라크 및 그 주위의 나라에서 어른과 소년이 입었던 무릎까지 닿는 긴 셔츠이다. 이집트인의 갈라비아에 상당하는 디시대샤는 이라크 국기에 그려진 3성처럼 이라크인의 상징이다. 오늘날에 있어서도 이 고유의 의상은 그들의 여가시간에 디시대샤를 입는 노동자층을 제외하고, 디시대샤를 입는 사람과 바지를 입는 사람 사이에는 경쟁이 되고 있다. 바그다드에 있는 양복점에서는 고급품은 10일에 걸쳐 저급품은 3시간 만에 만든다.
디어스토커(deerstalker)
사냥용 모자로서, 햇볕이나 비를 피하기 위해 만든 앞뒤가 뾰족한 모자.
디에프 레이스(dieppe lace)
제2차 세계대전 때, 유명했던 프랑스의 디에프 시에서 만들어진 발렌시언 그룹의 보빈 포인트 형태의 레이스. 17~18세기에 가장 유행했던 레이스의 하나로 오늘날까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디자인(design)
의장, 고안이라는 의미로서 광의 협의로 각각 사용되어지고 있다
① 직물을 설계할 때 사용하는 실, 실의 번수, 경.위사의 밀도, 제직 방법, 무늬 등을 정하는 것인데 이것을 적은 용지를 의장지(design paper)라고 한다.
② 의복의 설계, 의복의 형태를 구성하는 것으로, 직물이나 편포의 설계도 포함해서 디자인이라고 한다. 의복에 있어서 장식적인 부분의 설계를 말할때도 있다.
디저트 부츠(desert boots)
→ 처카
디클라이닝 스커트(declining skirt)
치맛자락의 길이가 앞뒤가 차이나는 스커트. 옆에서 보면 스커트 단의 앞뒤, 또 좌우의 차이가 많이 남으로서 균형이 잡힌 정상적인 안정된 단에서 느낄수 없는 언밸런스에서의 재미있고 독특한 멋을 연출할 수 있다.
디키(dickey)
남성이나 여성들, 아동들에게 착용이 되는 칼러나 네크라인의 일부. 셔츠, 블라우스, 드레스 밑에 받쳐 입음으로서 보온을 위해서나 또는 옷과 조화를 강조하기 위해서 입는다.
디키 블라우스(dickey blouse)
남자 예복의 셔츠 후론트에서 시작되었으며 가슴부분에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게 주름이나 턱으로 장식을 한 부분을 덧붙인 블라우스를 말하며, 아동용의 턱받이 비브(bib)나 가슴받이가 붙은 에프론피나포어(finafore)로된 불라우스를 말한다.
디테일(DETAIL)
의복을 만드는 봉제과정에서 세부 장식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디테일의 종류로는 frill, flounce, ruche, piping, top-stitching, tuck, pleat, bow, scallop, fringing, smocking, shirring, embroidery, fagoting.
디텍터(detector)
→ 자동 정지 장치.
딥트 호스(dipped hose)
일반적인 실로 만든 다음 필요한 색상으로 염색하는 스토킹을 말한다.
딴단(faced hem)
어슷 천이나 바느질감의 올 방향과 같은 방향의 천으로 단을 댄다. 스커트의 안단, 블라우스의 목둘레, 진동둘레에 대는 단.
땀(stitch)
편포를 재단하여 봉합할 때에 실을 � 바늘로 한번 뜬 자국.
땀받이(dress shield, coat preserver)
옷을 잘 보존하기 위하여 땀이 배는 것을 막기 위해 덧 붙이는 헝겊.
땀수(stitch number per one inch)
일정한 길이 사이에 있는 봉목의 수를 말한다.
때때옷
어린아이들이 쓰는 말로 빛깔이 알록달록하여 고운 옷.
똑딱단추
→ 스�
뚜껑(flap)
주머니 부리를 덮어 씌우기 위해서 따로 댄 천.
뛰뛰 스커트(tutu skirt)
발레리나가 입는 발레복의 짧은 스커트. 개더를 넣어 겹친 것으로 기장이 짧고 옆으로 퍼져 있는 스커트. 또는 이브닝 드레스의 좁은 시즈(sheath) 스커트 위에 플래어를 넣은 부풀린 짧은 오버스커트도 뛰뛰 스커트로 부른다.
뛴땀
박은 솔기가 고르지 못하고 건너 뛴 현상.
뜨개질
셔츠, 양말, 장갑 등을 털실 같은 것으로 뜨는 일.
띠
① 옷 위로 가슴이나 허리를 둘러 매는 끈. ② 주로 아이를 업을 때에 둘러 매는 너비가 좁고 기다란 천.
띠 고리(belt loop)
허리띠를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리를 만들어 붙인 것.
띠심(inside belt)
스커트나 드레스의 허리 안쪽에 대는 띠. 남자 양복 바지의 안쪽에 대는 신축성이 있는 옷감으로 만든 띠. 또는 고물줄 띠.
'[일,하며] > 어패럴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유제품용어집] "가" 편 (0) | 2007.10.18 |
---|---|
[섬유제품용어집] "나" 편 (0) | 2007.10.18 |
패션,스타일용어 "라"편 (0) | 2007.10.18 |
섬유의 감별 (0) | 2007.10.18 |
다이마루와 우븐에 대해서 !! (0) | 2007.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