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며]/어패럴무역

국제항공운송의 개요

Jackim 2008. 12. 6. 01:22

    국제항공운송의 개요


      1. 국제항공화물운송의 의의

      국제항공화물(air cargo)이란 항공기에 의하여 수송되는 화물로서 일반적으로 항공화물운송장(air waybill)에 의해 수송되는 화물만을 지칭하며 승객의 수하물(passenger's bagga- ges)과 우편물(mail)은 제외한다.

      또한 항공운송(air transportation)이란 항공기의 항복(plane's space)에 승객, 우편물 및 화물을 탑재하고 국내외 공항(air port)에서 공로(air route)로 다른 공항까지 운송하는 운송시스템을 의미한다. 항공운송은 오늘날 국제무역에 있어서 중요한 수송수단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상업적인 수송수단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국제화물운송은 해상이나 육상운송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항공산업의 발전과 화물전세기가 등장하여 세계를 일일생활권으로 하는 신속한 운송요구에 따라 항공운송의 비중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경제의 질적인 발전과 함께 반도체, 전자제품, 시계 등 고부가가치의 소형경량 화물에 대해서는 비싼 운임을 지급하여도 채산성이 있는 데다 신속한 운송의 장점 등으로 항공운송을 선호하게 되었다.




      2. 국제항공화물운송의 특성

      일반적으로 운송에 대한 화주의 요구사항은 빠르고 적절한 시간에 저렴한 운임으로 가장 간편한 절차에 의해 서비스되는 것인데 이 중 항공운송은 경제성을 제외한 모든 요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다.

      항공운송의 특성은 신속성과 야행성으로 대표되고 적시성, 비계절성, 서비스의 완벽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

      1) 적시성
      
    적시성은 항공운송이 가지는 최대의 장점인 신속성을 바탕으로 정시서비스(on-time operation service)가 가능하고 야간의 운행으로 화물인도(over night delivery)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화물을 저녁때까지 집하하여 탑재한 다음, 다음날 아침에 수화인에게 인도할 수가 있어 긴급화물이나 부패성화물의 운송에 가장 적합한 운송수단이 된다.

      2) 비계절성
      
    항공화물은 여객에 비해 계절적인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것이다. 물론 꽃, 패션제품, 크리스마스 상품 등 계절적 유행상품은 예외이다.

      3) 서비스의 완벽성
      
    서비스의 완벽성이란 화주는 집하(pick-up), 인도(delivery), 화물추적(tracing)의 용이성, 특수취급을 요하는 위험물품과 귀중품 등의 안전성, 기타 보험이나 클레임 업무의 편리성 등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서비스가 타운송 보다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이다.




      3. 항공화물운송의 장점

      항공화물운송의 가장 큰 특성은 운송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것이며, 시간가치라는 개념에서 볼 때 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항공운송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직접원가면에서의 장점
       (1)
    항공화물은 최소의 포장만을 함으로써 포장비(재료비, 인건비)가 절감된다.
       (2)
    포장을 경량화함으로써 운임도 그만큼 절약된다.
       (3)
    신속, 안전, 확실하므로 보험료가 싸다.
       (4)
    운송중인 상품에 대한 자본비용(투입자본의 이자)이 절감된다.
       (5)
    수요에 응해 적시에, 적량을 신속·빈번하게 발송할 수 있어 발착지 및 중계지 등에서 보관비가 절감된다.
       (6)
    운송기간이 짧아 화물취급(handling)이 줄어 도난, 훼손 등이 적다.

      2) 간접원가면에서의 장점
       (1)
    신속운송으로 효율적인 자본회전을 도모할 수 있다.
       (2)
    재고품의 진부화, 변질 등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3)
    발착지에서의 보관기간이 짧아 보관시설에 대한 투자, 임차료, 관리비 등이 절감된다.

      3) 기타의 장점
       (1)
    선도를 생명으로 하는 상품의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
       (2)
    원격지 시장에 대한 유행품, 계절품의 판매경쟁력이 높아진다.
       (3)
    급격한 수요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 상기를 잃지 않는다
       (4)
    생산설비의 부품을 신속히 조달, 가동률을 높인다.
       (5)
    정시발착에 화물의 소재파악이 용이하며 신뢰도가 높다.




      4. 항공화물의 주요품목

      현재 항공화물로서 운송되고 있는 품목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급송을 요하는 품목
       
    (1) 긴급수요가 발생한 것
       
    선박, 항공기, 공장 등 기계의 공장부품 대체품, 혈청 등 의학상 급송을 요하는 것, 상용견 품, 납기지연 상품, 계절유행상품, 투기상품, 재해지에 대한 긴급구호 물자 등

       (2) 물품의 성질상 단기간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것
       
    생선식료품(선어, 활어), 생동물, 생화, 방사성 물질 등

       (3) 판매시기를 놓치면 상품가치가 없어지는 것
       
    뉴스필름, 신문, 잡지, 정기간행물 등

       (4) 여객의 별송품 등 급송을 요하는 것
       
    이삿짐, sample 등

      2) 중량에 비해 고액이고, 중요한 품목으로서 운임 부담력이 있는 것
      
    귀금속, 미술품, 시계, 전자제품, 광학제품, 약품, 각종 부품, IC관련기기, 컴퓨터, 통신기기 등

      3) 항공운송수단이 다른 운송수단보다 싸거나 동일한 정도인 것
      
    항공운송의 발달과 합리화 및 육상운송의 쇠퇴에 따라, 품목에 따라, 중량에 따라, 동일구간에서도 항공운송에 의하는 쪽이 다른 운송수단에 의하는 것보다 오히려 직접 경비가 싸거나 또는 동일한 정도의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당연히 화물은 항공에 의해 운송된다.

      4) 물적유통관리나 마케팅전략의 요청에 의한 것
      
    현지 판매업자에 의한 과잉재고로부터 오는 가격하락의 방지 또는 경쟁상품보다 신속하게 공급하여 고객에 대한 서비스체제를 강화하고 자사제품의 시장경쟁력을 높일 목적으로 항공운송을 이용한다. 또한 최근에는 물적유통관리의 실천에 의한 상품 stock point의 집중화나 재고투자의 절감에 의한 물적유통체제 합리화의 요청에 응하기 위하여 항공화물의 대상이 되는 상품 종류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5. 항공화물과 해상화물의 특성 비교

      1) 신속, 정시성
      
    항공운송은 해상운송에 비해 운송기간이 훨씬 짧으며, 정시성 service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항공과 해상운송의 기간을 비교하면, 미국까지 항공운송일 경우 2일, 선박의 경우 15일이 걸리고 구주까지는 항공운송의 경우 2일, 해상운송의 경우 3주일이 각각 소요된다.

      2) 안전성
      
    화물의 포장면에서 항공은 99% 이상이 carton box를 사용하나 선박은 wooden box를 사용한다. 또한 선박에 의한 해상운송시에는 파도, 태풍 등에 기인한 충격에 의하여 화물의 파손율이 높고, 습기가 많은 바다를 장기간 항해하기 때문에 원형의 변질과 해수에 의한 침식, 또는 부식성이 높다. 그러나, 항공운송에서는 이러한 위험이 적으므로 항공화물의 보험료율이 해상화물보다 낮다.

      3) 경제성
      
    운임면에서 항공화물이 해상화물보다 비싸므로 항공운송을 기피하고 있다. 그러나, 순수한 운임은 항공운송이 높으나 포장비, 보험료율, 중량계산방법, 기타 부대비용 등을 고려한 total cost개념으로 볼 때는 항공화물이 해상화물보다 경쟁력이 있는 품목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