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며]/어패럴자재
원단 명칭 및 설명
Jackim
2008. 9. 13. 00:24
원단 명칭 및 설명
1. Argyle check (아가일 체크)
양말이나 스웨터, 카디건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다이아몬드처럼 생긴
모양이 바로 아카일 체크이다. 가로, 세로선이 만나 만든 다른 체크와는
달리, 아카일 체크는 면으로 이루어진 체크이기 때문에 대비되는 독특한
색감을 즐 길 수 있다. 아가일이란 이름은 스코틀랜드 서부 연안 아가일
주(state)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며 흔히 다이아몬드 체크라고도 불린다.
스쿨걸 룩이 유행하면서 단정하면서도 귀여운 느낌을 주는 아카일 체크의
옷들이 거리에서도 많이 눈에 띄며, 특히 양말이나 니삭스(knee socks),
조끼, 카디건, 라운드나 V 네크라인 스웨터 등 니트에 많이 사용된다.
정식 이름은 Argyle Plaid (아가일 플래이드).
2.Baggie Look (배기 룩)
한마디로 헐렁헐렁 커다란 스타일을 말한다. 정확히는 백(bag)에서
파생된 형용사로 '헐렁헐렁한, 불룩한'이란 뜻. 복식에서는 길이와 폭
모두 여유가 많고, 직선 재단을 이용하여 몸에 붙지 않는 스타일의
복장을 말한다. 말그대로 헐렁헐렁하게 큰 온들. 최근에는 워낙 몸에
피트되는 디자인들이 유행해 예전만큼 눈에 띄지 않지만 청소년들에게
인기인 힙합 스타일 등에서 배기의 컨셉을 찾을 수 있다. 처음 배기룩이
등장한 것은 1970년대 중반이다.
3.Cashmere (캐시미어)
인도 북북 캐시미르 지방, 티벳 등지에서 기르는 산양에서 채취한 모사를
사용하여 짠 섬유, 촉감이 부드럽고, 보온성이 좋아 주로 숄, 코트 등에서
사용되는 겨울 소재.
4.Cropped pants (크롭 팬츠)
길이를 잘라낸 팬츠로, 7부 길이 정도 팬츠의 총칭이다.
실루엣은 여러 가지이며 ‘컷 오프 팬츠(cut off pants)'라고도 한다.
5.Drape (드레이프)
시폰이나 실크, 레이스처럼 하늘하늘하거나 부드러운 옷감으로 만든
옷을 입으면 옷감이 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주름이 생긴다. 이 주름들이
만드는 독특한 느낌. 즉 드레이프를 즐기기 위해 원단의 일부가 늘어지는
등의 특별한 디자인들을 하기도 한다. 여성스러운 아이템에 많이 사용하며
드레이프가 표현되는 스타일은 여유있고 우아해 보인다. 진이나 스판처럼
몸에 달라붙는 옷들이 유행해 좀처럼 자연스런 드레이프를 찾아보기 힘들지만
겨울이 되면 등장하기 시작하는 숄이나 망토, 스카프로 원단이 주는 아름다운
드레이프를 즐길 수 있다.
6.Duffle coat (더플 코트)
거친 모직으로 만든 군용 코트에서 시작된 더플 코트.
단추 대신 토글 장식(일명 떡볶이 단추)으로 여미도록 되어있는 것이 원칙.
Ethnic look (에스닉 룩)
원래는 세계 여러 나라의 민족 고유의 복장을 의미하는 말. 에스닉풍 의상이 크게
유행하면서 요즘은 동양적인 오리엔탈 룩으로 많이 해석되기도 한다.
7. Forklore look (포크로 룩)
포크로란 '민속적인, 민속풍'이라는 뜻. 에스닉하고 이국적인 분위기가
물씬나는 스타일을 포크로 룩이라고 한다.
8. Goretex (고어텍스)
섬유에 구멍이 많기 때문에 완벽한 방수성, 통풍성을 자랑한다.
주로 스키 웨어로 쓰이는데, 요즘은 아웃도어 웨어로 점퍼나 베스트
등에도 많이 이용된다.
9. Grip bag (그립 백)
그립은 ‘잡음, 쥠’이라는 뜻. 소형의 손가방을 말한다. 손잡이가 하나고
모양은 수트 케이스와 흡사하며 물림쇠나 지퍼로 윗부분이 열린다.
가죽, 합성피혁 등이 있다.
10. Hem line (헴라인)
의복의 가장자리선으로 일반적으로 바닥에 대해 수평을 이루는 라인이다.
이것은 의복 전체의 프로포션을 결정하는 요소로 중요한데, 착용자의
프로포션이나 유행에 의해, 또 의복의 밸런스 등에 의해 일정하지 않고
그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평면 재단의 경우, 예정된 헴라인이 결정되지만
입체 재단일 경우에 헴라인은 소재의 물성이나 디자인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입체적인 상태에서 결정한다. 헴라인은 수평선만이 아니라 지그재그 사선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11. Heringbone (헤링본)
헤링본은 '청어의 뼈'라는 뜻으로 직물의 짜임 형태가 생선의 뼈 모양을 하고
있다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보온성이 뛰어나고 착용감이 좋아 코트나 스커트,
재킷 등 다양한 아이템에 이용된다.
12. Ivy look (아이비 룩)
'담쟁이 덩굴'이란 뜻의 아이비. 미국 동부의 8개 명문 대학 건물이 담쟁이
덩굴로 뒤덮여 있어 아이비 컬리지(Ivy College)라고 불리는데,
아이비 룩이란 아이비 컬리지 학생들이입던 신사복이나 숙녀복을 일컫는 말.
교복 스타일에 많이 이용, 변형된 의미로 대학생들의 옷차림을 통틀어
아이비 룩이라고 한다.
13. Jacquard (자카드)
19세기 초 자카드 작가를 발명한 프랑스인 조셉 마리 자카드(Joseph Marie Jacquard)의
이름에서 유래됐다. 자카드 직기를 사용하여 매우 복잡한 문양을 표현한 천을 통칭하는데,
브로케이드, 태피스트리 등이 모두 자카드직이다.
14. Jim bag (짐 백)
야구 선수들이 들고 다니던 스포츠 백에서 유래한 짐 백. 가볍고 실용적이어서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로 애용되고 있다.
15. Knee high socks (니 하이 삭스)
무릎 바로 아래까지 올라오는 양말. 스쿨걸 룩에 잘 어울리는 니삭스는
큐트하고 깜찍한 소녀풍에 적격.
16.Leather (레더)
인조 비닐 가죽을 뜻하는 '레더'는 100% 순수 가죽이 아니라, 비닐 등과 같은
여러가지 섬유과 섞힌 합성 피혁을 뜻하는 것.
17. Maxi skirt (맥시 스커트)
발목까지 오는 긴 스커트. 1969년 미니 스커트의 유행 다음으로 나왔던
맥시 스커트는 1970년대에 많은 사랑을 받았다.
18. Mods Look (모즈 룩)
모즈 룩은 아직까지도 건재하다. 모즈 룩(Mods Look)은 'modern'의 약자로,
1960년대 중반 카나비 스트리트를 중심으로 나타난 자유분방한 젊은이들의
옷차림을 일컫는 말. 1960년대 중반은 영국의 비틀즈가 전성기를 누리던 시기로,
최근의 모즈 룩은 바로 그 비틀즈가 즐기던 '비틀즈 룩'으로 대변된다.
슬림한 재킷을 주요 아이템으로 하는 매니시하고 시크한 수트 차림이
대표적인 스타일. 샤프하고 도시적이며 매니시한 느낌이 매력적이다.
19. New look (뉴 룩)
최신 유행 스타일이라는 뜻. 특히 1947년 봄에 크리스챤 디오르가 발표한
새로운 룩을 말한다. 살짝 들린 어깨선과 쏙들어간 허리선의 재킷이 바로 그것.
20. Opera pumps (오페라 펌프스)
중간 힐 이상의 높은 듯한 힐인데, 발 끝에 리본 같은 것을 맨 관극용 여성화.
21. Panel (패널)
세로로 늘어뜨인 천이라는 뜻이다. 스커트 등에 세로로 끼워넣은 다른 천을 말한다.
또는 별도의 장식천을 말하기도 한다.
22. Polka (폴카)
여성용 꼭 끼는 니크 재킷. 대부분 영국에서 입는다.
Plane toe (플레인 토)
구두의 코에 꾸밈이 전혀 없는 순수한 것을 말한다.
23. Pumps (펌프스)
포멀 웨어에 쓰여지는 드레시한 구두를 말한다. 에나멜 가죽 등으로 만들어져
정면에 작은 보타이가 붙어서 매우 낮게 커트된 슬리폰 형이다. 천으로 만들어져
호화스런 보석이 보타이 대신 붙은 환상적인 것도 있다.
24. Pullover (풀오버)
머리부터 입는 스웨터의 모든 종류를 칭하는 것. 하지만 우리가 흔히 말하는
풀오버라 하면 목까지 올라오는 스웨터를 발하는 것이 보통.
25. Quilting fabric (퀼팅 패브릭)
천과 천 사이에 솜이나 양모 또는 우레탄 폼 등을 펴놓고 박음질한 천이다.
본래의 용도는 이불이나 침대 커버 등이었으나 요즘은 스커트나 소품 등에도
많이 응용하고 있다.
26. Retro (레트로)
복고풍, 옛것의, 그리운 의미인 레트로스펙티브(retrospective)의 줄임말.
1920~1930년대 등 클래식한 패션을 그리워하여 현대에 다시 부활한 스타일.
27. See through (시스루)
살갗을 보이는 패션이란 것으로 1968년경부터 생겨난 말이다. 오건디 같은
투명한 천으로 만든 블라우스, 셔츠 등 브래지어나 슬립 등의 속옷을 걸치지
않고 입는다.
28. Sequin (시퀸)
원래는 13세기 베니스에서 만들어진 금화나 화폐 모양의 복식이었지만,
복식 용어로는 현재의 스팽글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29. Sneakers (스니커즈)
캔버스 슈즈와 비슷하지만 밑창에 고무를 붙인 것을 말한다. 고무창이 붙어
있어 걸을 때마다 소리가 나지 않는다고 해서 스니커라 부르는 것.
30. Tone on Tone (톤 온 톤)
아이보리에 베이지, 황토색, 브라운, 초콜렛 색 등과 같이 동일 색상에 속하면서
명도가 다른 색끼리 매치시키는 것을 톤 온 톤이라 말한다. 예를 들면 베이지색
바지에 흰색 셔츠를 입고 그 위에 옅은 브라운 스웨터를 입고 짙은 브라운 코트를
입는 그런 코디다. 장점 - 절대 실패하지 않는다. 그래서 웃음거리가 안된다.
단점 - 심심하고 단조롭다. 그래서 센스있는 멋쟁이는 될 수 없다. 서양보다는 동양,
특히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칼라 코디 방법이다. 톤 온 톤 배색을 조금
더 변화있게 즐기려면 서로 소재가 다른 종류를 매치시키거나, 아니면 같은 톤의
패턴을 하나 더 추가한다.
31. Tweed (트위드)
순모로 만든 스코틀랜드풍 홈스펀을 말한다. 평직이나 능직 등으로 짠 홈스펀
종류의 천을 총칭하여 부르기도 한다.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사용하기도 하고
주로 코트, 수트 등에 사용하는 섬유이다.
32. Under-arm bag (언더-암 백)
끈이 없이 겨드랑이에 끼로 다니는 백이다. 대체로 평평한 타입이며
드레시한 경우가 많다.
33. Urban wear (어반 웨어)
도시에 사는, 도시의 뜻으로 도시적인 세련된 복장이나 외출복을 말한다.
현재는 비즈니스 수트뿐만 아니라 도시 사람들이 착용하는 복장 전체를 뜻한다.
34. Vintage Jean (빈티지 진)
빈티지라는 용어는 특정지역 수확기에 양조된 포도주를 일컫는 용어로 상품의
특정연도 생산품, 옛것으로 값이 나가는 것, 골동품 같은 시대에 뒤떨어진
의미로도 사용된다. 빈티지 진이라 하면 리바이스 회사가 만들어낸
'LEVIS 501'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것은 세탁하면 줄고 색이 빠지며 구겨지는
데님을 사용하여 옛날 분위기가 나는 빈티지 진을 복제 하면서 보편화 된 용어이다.
즉 옛날풍의 진의 부활이다.
35. Walking wear (워킹 웨어)
현대의 워킹 웨어는 스포츠 마인드에 캐주얼 분위기를 가미시킨 스타일을 말한다.
실용적이고 착용감이 좋은 스타일을 뜻한다.
36. X-mas wear (크리스마스 웨어)
12월 25일 크리스마스를 기념하여 누구를 만날 때나 파티에서 입는 옷. 레드,
화이트, 청록색 등을 사용하여 크리스마스 느낌이 나도록 코디한다.
37. York (요크)
몸판이나 스커트 위쪽을 절개하여 끼우는 덧천을 말한다. 어깨판과 몸판의
천을 잇는 것도 마찬가지.
38. Zip-up (지프 업)
지퍼가 있어 옷을 여미고 닫을 수 있는 형태를 '지프 업'이라고 한다.
단추나 똑딱이 대신 지퍼가 달려있어 입고 벗기가 수월한 것이 장점이다.
편성물(KNITS FABRIC)
: 고리와 고리의 연결로 짜여진 신축성이 놓은 소재로서 내려 가면서 한올이나
여러올의 실이 양옆의 실과 서로 고리를 만들면서 얽혀 편직하는 방법으로
경편 성물과 위편 성물이 있다.
1)경편 성물
여러 올의 경사가 동시에 움직이며 지그 재그 형태로 고리를 만들면서 짜는 조직이다.
<특징>
- 신축성이 위편성물 보다 작다.
- 고리가 끊어져도 쉽게 풀리지 않는다.
- 감촉이 부드럽고 드레이프성이 좋아 가격이 저렴하여 안감이나 스포츠웨어에
많이 사용한다.
- 대표적인 소재는 트리코(tricot), 라셀(raschel)등이 있다.
2) 위편 성물
위사 방향으로 한올의 실이 서로 코를 만들어가면서 연결하여 짜는 것을 말한다.
<특징>
- 가장 기본적인 편성물 조직으로 손뜨개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 소재의 신축성이 많다.
- 코가 끊어지면 올이 나간다.
- 周로 여르용 의류 및 겨울용 의류에 사용한다.
- 대표적인 소재는 저지(jersey), 양면 편성물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