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며]/어패럴팁스

Knit 용어 정리

Jackim 2008. 2. 20. 23:35
     

    Knit 용어 정리

     


    편 직 기
    * 환편기 (다이마루, Circular Knitting Machine) : 바늘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회전하며 편직하는 기계
    * 횡편기 (요꼬, Flat Kitting Machine) : 바늘이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실이 좌우로 왕래하면서 편직하는 기계
    * 가마 (침상, Needle-Bed) : 바늘이 �혀 있는 판
    * 게이지 (Gauge, 봉) : 1인치(=2.5cm) 내에 꽂혀 있는 바늘의 수 (게이지↑밀도↑)

    * 랫치 바늘 (수염바늘, Latch Needle) : 베라(랫치)가 달려 있는 바늘
    * 양두 바늘 : 양쪽에 Hook이 있는 바늘
    * 잭 (Jack) : 침상에 바늘의 아랫쪽에 꽂혀 있는 바늘을 밀어 주는 것
    * 바트 (Butt) : 바늘이나 잭에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 캠에 의해서 바늘이나 잭을 울직이도록 하는 것
    * 캐리지 (구라, Carriage) : 가마위를 이동하는 장치로 캠과 두수 들을 돌려줌
    * 마끼도리 (Take-Down) : 편직한 원단을 밑에서 당겨주는 장치
    * 스티치 프레셔 (Stitch Presser) : 편직한 것이 떠오르지 않게 편직시에 눌러주는 장치
    * 하게솔 (Brush) : 헤라(Latch)를 열리게 한다.
    * 도목 (stitch Density) : 코(Loop)의 크기(길이)
    * 후리 (Racking, Needle-Bed Shifting) : 침상이 좌 또는 우측으로 몇바늘씩 이동하는 것
    * 트랜스퍼 (Transfer, 곳동, 꼬떠넘김) : 앞바늘에서 뒷바늘로 코(Loop)가 넘어가는 것(역도동일)
    * 편폭 (Knitting Width) : Bed의 바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의 폭
    * 우수 (Yarn Carrier) : 편직을 하기 위하여 실을 끌고 다니는 장치

    조직
    * 하네 : 원단 또는 제품에서 Loop가 풀려 내리는 것
    * 도메 (Casting) : Sweater의 밑단에서 코가 풀리지 않도록 편직 시작시에 특수하게 편직하는 것
    * 간도메 : 마무리(끝부부)부분이 풀리지 않고 외관상 깨끗하게 처리하는 것
    * 고모단 (Rib, 시보리) : 손목 및 허리단을 1 * 1 또는 2 * 1 로 편직하는 것
    * 가다면 (민짜, Plain Stich) : 두 침상 중 한쪽 침상의 바늘만으로 편직하는 조직
    * 쇼바리 : 두침상에 있는 모든 바늘로 편직한 조직
    * 후꾸로 (Tubular) : 앞면과 뒷면사이에 주모니처럼 공간이 생기는 조직
    (편직시 도메후 늘어나지 않도록 하는 끝처리 부분에도 사용)
    * 터크 (Tuck) : 라빙 똔ㄴ 곱먹는다고도 하며 편직이 되지 않게 바늘의 후크에 실이 1~3회 계속
    축적되어 있다가 코(Loop)를 형성하는 것
    * 핫찌 : 한번은 앞뒤침상 모두 편직하고 다음에는 앞 바늘편직과 동시에 뒷바늘 터크인 조직
    * 니쥬 : 한번은 앞침상 바늘편직, 뒤침상 바늘터크 다음에는 앞바늘 터크, 뒷바늘이 편직인 조직
    * 밀라노 리브 (Milane Rib) : 후꾸로(Tubular)를 짜고 나서 쇼바리를 자는 조직
    * 반가다 (반밀라노) : 한번은 쇼바리 다음 뒤 후꾸로로 짠 조직
    * 양두 (Links-Links) : 앞침상의 바늘에서 편직된 후 코(Loop)가 뒷침상으로 넘어가서(곳등) 다시
    뒷침상의 바늘에서 편직되는는 것이 반복인 패턴
    * 케이블 (꽈배기, Cable) : 좌측바늘의 실과 우측바늘의 실이 서로 바뀌어 꼬이는 형태의 패턴
    * Single (Plain) Jacquard : 앞침상의 바늘만으로 편직한 Jacquard로 편직포의 뒷면에
    Floating(실이 건너뜀)이 됨
    * 2-Color jacquard : 편직포에서 한줄에 두 Color가 나타나는 양면 패턴
    * 3(4)-Color Jacquard : 편직포에서 한줄에 세(넷) Color가 나타나는 양면패턴
    * Tubular-Jacquard(후꾸로 쟈카드) : Color Jacquard 편직시에 각 Color의 경계면만 양면이고
    나머지 부분은 Tubular로 되는 Jacquard패턴
    * 스카시(레이스, 오베라시, 포인텔) : 구멍이 많이 뚫린 조직
    * 테리(파일, 플러시) : 타올 같은 조직
    * 인타샤(Intarsia, 인타샤) ; 민짜로 편직하면 편직포에 Color로 무늬가 나타나는 패턴
    * Intarsia-Jacquard(인타 쟈카드) : 인타샤처럼 편직된 어느부분에 양면 Color Jacquard로
    편직된 부분이 있는 패턴
    * full-Fashion(Shape, Forma) : Sweater만들 때 Cutting(재단)하지 않도록 Sweater 모양대로
    양쪽에 Widening(코늘림)과 Narrowing(코줄이)을 하는 편직 방법
    * 헤라시(Narrowing) : 바늘 침수를 줄여 나가며, 무늬가 형성되며 끝처리가 매끄럽다.
    (오도시보다 생산성이 많이 떨어진다.)
    *오도시 : 바늘 횟수를 줄여 나가며, 끝처리가 거칠음
    * 후야시(Wldening) :바늘 침수를 늘여 나가는 것
    * 플라켓 : T-에리 모양의 앞단을 말함
    * 부속 : 에리, 단, 주머니 등을 총괄해서 하는 말
    * 풀 라그랑 : 겨드랑이 선에서 목선까지 사선모양으로 된 스타일
    * 반 라그랑 : 겨드링이 선에서 1"-2" 정도 어깨선이 들어간 스타일
    * 드롭 : 겨드랑이 선에서 일자로 어깨에 연결된 스타일
    * 새들 : 겨드랑이 선에서 목선까지 곡선 모양으로 된 스타일
    *Pullover : 머리로부터 뒤집에 써서 입는 형식으로 된 옷
    1) Round Neck : 둥근 Neck Line의 총칭으로 앞이 얇게 파인 것
    2) V-Neck : 앞 중앙을 V Shaped Neck Line이라고도 함 


    Knit의 기본조직과 특성
    1. Plain 조직 (평편조직, 가다면, Single Jersey)
    * 앞, 뒤 2개의 Needle Bed중 앞이나 뒤 어느 한쪽 Bed로만 편직한다.
    * Knit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조직이며 부드럽고 얇아서 가볍다.
    * 앞, 뒤가 명확하게 구분된다.
    ---> 일반적인 Pull over, Cardigan, V-neck, Round에 많이 사용한다.

    2. 쇼바리 (All Knit)
    * 앞, 뒤로 코가 형성되는 조직으로 신축성이 좋다.
    ---> 일반적인 Pull over, Cardigan, V-neck, Round에 많이 사용된다.

    3. Rib 조직 (고무단)
    * 양면으로 평서되는 조직으로서 바늘배열에 따라 1X1, 2X1, 2X2등으로 나뉜다.
    1X1 Rib : 기계에서 1바늘을 앞으로 세우고 1바늘은 뒤로 뺀 조직
    2X1 Rib : 기계에서 2바늘을 앞으로 세우고 1바늘을 뒤로 뺀 조직
    * Rib 조직은 좌우방향으로 신축성이 매우 좋기 때문에 주로 허리/소매단에 이용 되기도
    하고 쫄쫄이 T셔츠에도 사용한다.

    4. Tubular (후꾸로)
    * 싱글조직을 이용해 양면으로 편직되는 조직으로서 앞 가다면, 뒷 가다면을 반복된다.
    * 자루모양의 공간이 생긴다.
    * 에리 시접을 안쪽으로 해서 깨끗하게 처리 할 수 있다.
    ---> 주머니, 목폴라, 가디건 앞단, 허리/소매 끝단 등에 이용한다.

    5. Milano (가다 후꾸로)
    * 양면과 싱글로 편직되는 조직으로서 "소우바리 - 앞 가다면 - 뒷 가다면"으로 반복된다.
    * Knit 조직 중에서 가장 두껍고 신축성이 적으며 안정성이 있어서 Jacket이나 Jumper앞단,
    주머니단, 에리 등 부속용으로 많이 쓰인다.
    참고) Milano Rib : Rib편과 평편을 조합한 것이다.
    비교적 외관이 특수하면 안정이 있는 편성물이다.

    6. Half Milano (반가다 )
    * 양면과 싱글로 편직되는 조직으로서 "소우바리 - 가다면"으로 반복된다.
    ---> 앞은 줄이간 상태, 뒤는 깨끗한 상태가 된다.
    (디자인에 따라 앞, 뒤 선택이 가능하다.)
    * Milano조직과 소우바리 조직의 중간형으로서 안정성이 있어 흐느적거리지 않는다.
    ---> 입체감의 무늬 효과를 낼 수 있다.

    8. Full Cardigan (니쥬, 양이랑뜨기)
    * Half Cardigan을 응용한 조직이다.
    * Half Cardigan Rib편에 비하여 광폭으로 편성이 가능하며 또한 신축성이 적다.
    * Tuck를 앞, 뒤로 넣어주었기 때문에 형태 안정성이 Half Cardigan보다 못하며,
    원단이 흐느적거린다.
    * 앞, 뒤 구별이 안된다.

    9. Links And Links (양두조직)
    * Plain (앞편직)과 Reverse(뒷편직)가 서로 교차되게 하여 이루어진 조직
    참고) Double 양두 : 앞편직을 2번 한 뒤, 뒤로 Transfer하고 뒤편직을 2번하고 다시 앞으로
    Transfer하는 것을 반복하는 조직을 말한다.

    10. Skashi (Mesh, Lace, Hole Stitch)
    * 양면 또는 싱글로 편직되는 조직으로서 편직시 1코를 다른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다.
    * 주로 가다면에서 활용한다.
    * 구멍이 송송 뚫렸기 때문에 봄, 여름용으로 시원스런 느낌을 준다.
    * 입체감의 무늬 효과를 낼 수 있다.

    11. Cable (꽈배기)
    * 양면 또는 싱글로 편직되는 조직으로서 보편적으로 가다면에서 편직 도중에 특정부분
    Loop의 위치를 서로 바꿔서(서로 교차시켜서) 형성된다.
    * Low Gauge 일수록 입체감이 강하다.
    * 3X3 Cable이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12. Welt (Miss stitch, 빨래판조직)
    * 반가다의 변형으로 양면과 싱글로 편직되는 조직으로서 "소우바리 - 가다면(2~5회 정도)"의
    조직으로 반복된다.
    ---> 가다면 2~5회로 편성된 쪽이 튀어나오므로 입체감을 줄 수 있다.
    * 두껍고 신축성이 적다.
    * 딱딱한 느낌과 형태 안정성이 강하다.

    13. Intarsia
    * 이태리어 "inlay"이 상감하다. 박아넣다.
    * 가다면에 색실로 무늬를 모자이크와 같이 넣은 조직이다.
    * 인타샤의 뒷면을 보면 자기 무늬 뒤에는 다른 실이 지나가지 않는다.

    14. Jacquard
    * 가다면에 색실로 무늬를 형성하나, Intarsia와는 달리 뒷면에 다른 실들이 편직하여
    지나가거나, Miss하여 지나간다. 그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눈다.
    1) Normal Jacquard
    2) Bird's eye Jacquard
    3) Floating Jacquard
    4) Tubular Jacquard
    5) Ladder's back Jacquard



    출처 :
    http://mm.intizen.com/lsd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