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소에서 사용하는 화공약품
세탁소에서 사용하는 화공약품
불소 F113은 47.6℃에서 끓으며.냄새가 없는 투명한 휘발성 액체로서 불연성이다.
독성도 적어 퍼크로보다. 1/10 에 불과하며,용해력이 온화하여 섬세한 고급옷의
클리닝에 적합하다.
1.1.1트리클로로에탄은 무색의 액체로서 74℃에서 증류가 되며 불연성의 용제이다.
용액력이 우수하고 독성이 비교적 작은 편이며, 휘발성이 좋아 냄새가 남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증류온도가 낮아 정제비용이 저렴하고 경제성을 가지고 있는 용제이다.
타르계의 용제이며 탄소원소 1개가 얽혀있는 형상이다. 방향족 탄화수소의 대표적인
물건이다. 벤젠에 비해 안전하여 유성 얼룩을 제 얼룩을 제거하는데 중요한 용제이다.
콜탈에서 분류하며 인화성에 주의하여야 한다. 염색물, 아세테이트 및 염료에
주의할 것.
피리딘.
10% 수용액이 마킹, 잉크지우는데 이용된다. 페인트나 가열의 얼룩제거에 좋으며
콜탈에서 분류하여 얻어진다. 피리진이라고도 한다.
식물성 기름에 유산을 화합시키고 가성소다로 중화시킨 것으로 처음에는 세제로서
만들어졌으나 물이 계면장력을 저하시키는 등의 계면활성이 있어 염색가공시 균염제
(염색을 고르게 함)로서 이용되고 있다. 잉크의 오염제거로 사용되고 있다.
초산아밀.
초산아밀 공업용은 여러 이성체의 혼합물로서 향기로운 냄새를 가지고 있으며,끓은
점은 120 ~ 145℃이다. 초산 셀률로오스를 비롯한 수지류의 우수한 용매이다.
초산과 알코올류의 화합물이다. 아밀과 초산이 화합한 것을 초산아밀이라 하며,
에틸알코올과 초산이 화합한 것을 초산에틸이라 한다. 어느 것이든 연소성이 크므로
화기에 주의하여야 한다.
메탄올 또는 목정이라고도 하는데 생목을 건류하여 목초로부터 얻어졌기 때문이다.
에탄올 또는 주정이라고도 불리고 있는 널리 알려져 있는 알코올이며 술의 성분이기도
하다. 모피나 피혁의 세탁용 용제로 쓰인다. 유기물직의 용해성은 대단하다.
무색 투명한 액체로서 무기염류에 대한 용해성은 에틸알코올보다 못하지만 탄화수소,
유지, 수지에 대한 용해성은 크다.
에틸에테르는 달콤한 자극성을 띤 무색 액체이다. 인화성이 큰 액체이며, 증기는
마취성을 갖고 있어 마취제로 사용된다. 물과는 친화성이 아주 적으나 미량이 서로
혼합된다. 유지 수지류에 대한 용해력이 크다. 휘발성, 인화성이 크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빙초산.
빙초산 10㎖를 또는 메탄올 90㎖에 용해한 수용액 또는 메탄올액이 사용된다.
메탄올액은 염료가 수용액에 의해 용출 또는 변색할 염려가 있을 때 좋다.
아세테이트 섬유제품은 초산에 의해 손상되므로 사용할 수 없으며, 산에 약한
염색물이 있으므로 주이해야 한다. 얼룩빼기에 사용한 알카리성 약제를 중화하는
데도 사용된다. 휘발성이므로 건조하면 휘발하여 옷에 남지 않는다.
옥살산.
옥살산 결정 1 ~ 2g을 물 100g에 용해한 수용액이 된다. 쇳물, 잉크,땀,과즙 등의
얼룩빼기에 사용되는데 이것은 섬유를 손상할 염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사용
후 암모니아수로 중화하여 충분히 헹구어야 한다. 불화수소산염은 위험성이 없고
나일론사용에 적합하다.
락트산.
젖산이라고도 하며 40g을 물100㎖에 용해한 수용액을 사용한다. 탄닌에 의한 얼룩을
제거하는데 사용한다.
진한 암모니아수 100㎖와 물, 또는 메탄올 100㎖를 섞은 용액이 사용된다. 암모니아는
기체이므로 산을 중화하고 여분의 암모니아가 건조하면서 전부 휘발하여 옷에 남지
않으므로 산성 얼룩을 중화하는데 적합한 약제이며, 알카리성 얼룩을 산으로 중화한
후에도 암모니아로 다시 중화하여야 한다. 메탄올 용액은 염색물의 얼룩을 제거하는데
산성메탄올액과 함께 많이 사용된다. 아세테이트 제품은 섬유와 염색이 손상될 염려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높은 온도는 피하여야 한다.
올레인산.
유지로부터 분리되어 제조되는 것으로서 불포화점 1개를 갖고 있는 고급 지방산이다.
글리세린.
이것은 유지를 구성하는 삼가의 알코올로서 유지를 검화하여 비누를 만들 때
비누제조의 부산물로 얻어진다.
강력한 산화표백제이고 산성, 알칼리성, 중성 용액으로 어느 것에 도 사용되며, 산성
용액에서는 가장 강력하게 작용한다. 얼룩제거에 쓰일 때는 중성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1%용액이 쓰이며 표백후에는 갈색의 아산화망간이 되므로 환원표백제로 씻어야
한다.
백색 분말로서 묽게 반죽한 것을 얼룩부분에 바르고 밑에 젖은 수건을 놓고 그 밑에서
뜨거운 인두나 다리미로 가열한다.
백색 분말이며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를 생성하여 과산화수소와 같은 표백작용를 한다.
알칼리성이므로 과산화수소와 같이 알칼리를 가할 필요가 없다. 묽게 반죽한 것으로
얼룩부분에 바르고 밑에 젖은 수건을 놓고 그 밑에서 뜨거운 인두나 스팀으로 가하여
뜨겁게 열탕한다.
과산화수소 원액은 30%의 진한 용액으로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취급에 주의하여야
한다. 약국에서 소독약으로 판매되는 것은 3% 내외의 수용액이 사용되고 있는데 시판품은
산성으로 안정되어 있으므로 암모니아수를 이용해 알칼리성으로 하여야 표백효과가 있다.
50℃ 이상에서 표백이 잘 된다. 모든 섬유의 표백에 이용할 수 있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액체 표백제로서 4 ~ 6% 내외의 수용액으로 시판되고 있는데 얼룩
빼기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10배로 희석한 0.5% 정도가 적당하다. 여러 가지 색소를
지우는데 사용된다. 양모나 견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환원표백제로서 주로 동물성 또는 합성섬유의 표백에 사용된다. 도는 1% 내외가 사용
된다.
푸란깃드.
환원표백제이다. 하이드로설파이트를 정제하여 순도를 높은 것이 푸란깃드라는 상품
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휴효 주성분은 하이드로설파이트와 같은 것으로 수화아류산소다
또는 하이드로아류산소다라고도 일컬어지는 것으로 환원성의 표백제이다.
실부라이드라는 상품명으로 불리고 있다. 산성용액으로서 쓰이고 있는 산화표백제이다.
아세톤.
계톤계이며 물과 어떠한 비율로도 혼합되고, 알코올과도 자유롭게 혼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용해력이 좋으며 옥수수 혹은 밀페액을 원료로 하고, 특수한 세균을
사용해 발효하여 만들어지며, 초산석회에 의하여 합성되기도 한다. 매티큐어 지우는
용제로도 쓰인다.
환원계 표백제 푸란깃드, 즉 하이드로설파이트는 산성아류산소다를 아연말로 써서
환원시켜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그의 환원 표백력은 대체로 산성아류산소다의 2배
이상이다.
탄산소다.
탄산과 가성소다의 중화에 의하여 만들어진 염으로 흔히 세탁소 따라 일컬어지는
얼음사탕과 같은 외관을 나타내는 물질은 10분자를 가지고 있다.
인화성이 크며 고무의 용제로서도 양호한 것이다. 아세테이트, 나이론, 혼방품의
염색물을 녹여 없애는 수가 있으니 주의하여야 한다.
환원표백제로서 20% 수용액이 과망산칼륨의 얼룩을 제거하는데 쓰인다. 황산수소
나트륨은 공기중에서 산화되어 황산으로 변하므로 처리 후에는 반드시 헹구어야
한다.
10%의 수용액이 요오드의 얼룩을 지우는데 이용된다.
1% 수용액이 요오드와 질산은의 얼룩을 지우는데 이용된다.
황산제일철 1% 수용액이 하이드로 퀴논 등의 얼룩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아황산탄소2.5 + 올레산 7.5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고무같은 얼룩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처리 후에는 드라이클리닝을 하여야 한다.
세제액.
합성세제의 1% 수용액이 사용된다. 합성세제에 형광염료가 포함되어 있으면
흡착되 도리어 얼룩을 만들 염려가 있으므로 분말세제 보다는 형광염료가
배합되지 않은 부엌용 제세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중성세제.
고급알코올계 세제로서 물세탁 표시가 있는 양모, 실크세탁에 좋다. 냉수로
하되 3분 내에 하고 새로운 물로 헹구지 않는다.
프로테아제 1 + 식염 1 + 물 20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잘 제거되지 않는
단백질의 제거에 이용되며, 50℃ 내외에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시판되는 효소배합 세제로 대용할 수 있다.
석유정제과정에서 얻어지는 것으로 화학적 조성은 탄산수소지만 이것은
순수한 물질이 아니고 여러 가지 탄화수소의 혼합물로 되어있다. 온화하고
비중이 적어서 견직물 같은 섬세한 섬유에는 좋으나 세정력이 약하여 세정시간이
길며, 컴퓨터 드라이 클리닝에서는 화재 위험성을 갖고 있다.
합성용제 염소계 퍼클로로에틸렌이며, 무색이고 독특한 냄새를 가진 불연성
액체이다. 물과는 다소 친화력이 있어 소량이나마 서로 혼합된다. 시판되는
것은 대부분 안정제가 첨가되어 있다. 용해력이 커서 드라이클리닝에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독성을 지니고 있다.
출처 : 클리너스 클럽 /http://www.cleanersclub.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