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염용어설명
핸드스크린 나염에의 원단 붙임, 인나, 건조 등의 일련의 작업이 기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되어진다. 여기서 오토스크린프린트(auto screen print)또는 플레이트 스크린 (plate screen)이라는 말이 생겼다. 이 방법은 스크린 형틀의 위치가 고정되어 배열되어 있다. 생지 원단은 정해진 리피드 만큼씩 정확하게 이동한다. 생지는 "엔드레스 벨트"(무한velt)위에 점착제로 반듯이 펴진 상태 로 붙여진다. 그리고 형틀 아래에서 정 한 후 생지 원단 위의 형틀이 내려지고 스퀴지가 원단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나염한다. 인나가 끝나면서 즉시 형틀이 함께 올라간다. 다시 엔드레스 벨트가 1리피드 만큼 움직여서 정지한다. 이렇게 해서 소요의 나염 풀이 인내 되어 생지 원단은 벨트에서 분리 되어 연속 연동 건조기에 들어가서 건조, 중열, 수세의 후처리 공정으로 보내진다. 인나 속도는 1분간에 5∼15m이며. 미니멈 록트(최소단위)는 1패턴에 2300m이상이라 한다. 따라서 소롯트로써 고도의 나염기술이나 염색효과를 구하는 견(絹) 의 나염에 이용할 수 있다. 이 나염기에 의하면 36인치(1인치≒2.5cm)폭의 생 원단을 두 폭 걸 어서 한번에 나염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인나 시간이 짧고 습윤(wet on wet)방식으로 패턴의 표현 법에 있어서는 핸드 스크린 나염의 장점과 단점을 함께 가지고 있다. 벨트식 자동스크린 나염의 색 패턴 표현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것은 형틀의 상하 운동에 의한 나염 색 풀의 날림현상이 일어난다. 먼저 설명한 자동스크린 나염기와는 다른 것이 최근 등장하였는데 이것은 "후라고 맛트 자동스크린 나염기"로서 엔드레스 벨트가 연속 해서 진행하고 있는 위에 스크린 형틀의 색 풀과 스퀴징은 진행 방향 과 역으로 구동하여 인나하면 형틀이 생지 원단에서 떨어져 본래의 위치에 놓여진다. 이 조작이 끝났을 때 생지는 1리피드 만큼씩 진행하여 다음 조작을 한다. 인나 속도는 1분간에 최고 40m까지 도달한다. 나염이 되는 생지 폭은 최대 80인치까지이며 형틀의 "리피드" 송출 폭과 매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48∼52인치=10매(枚), 54인치=9매, 60인치=8매, 72인치=6매, 또한 3m 폭까지임. 벨트식 자동스크린 나염 기계
롤라 나염 기는 생지 한 면만 나염하는 편면 나염과 앞 뒤 양면을 나염하는 양면 나염이 있다. 보통은 편면 나염이며 이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생지가 블랑켓트와 언더크로스에 겹쳐서 회전하는 태고(프레스볼) 와 조각무늬 롤라 사이를 통과할 때, 압축력에 의해서 조각 롤라가 음각된 부분의 나염풀이 생지에 전이(轉移)되면서 나염된다. 이 운동은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기계 나염이다. 4색인 경우 4개의 조각 롤라가 나염 색 풀 박스에서 태고의 회전과 연결된 색풀 전달 롤라에서 계속 공급 받아서 조각 롤라에 전달한다. 한색에 하나씩 부착되어 있다. 또 조각 롤라의 앞뒤에는 린드 독터와 컬러 독터가 있어서 전자는 나염 잉크나 먼지, 보풀을 분리시켜주며, 후자의 컬러 독터는 필요한 나염 잉크만 전달하는 역할을 해준다. 또한 불필요한 부분의 잉크를 제거 해주는 칼날이다. 나염기가 8색기라도 모두 쓰는 것은 아니며, 다색일 때는 무늬 조각 롤라의 맞춤이 곤란해 진다. 롤라 나염은 일반적으로 4색 정도가 많이 사용된다. 나염 속도는 1분간에 5∼20m이나 최고 속도는 60∼100m/M까지 가능하다. 실제로 가공수량은 5,000∼10,000m라는 고속·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롤라 기계 나염은 조각 롤라의 부착, 무늬맞춤, 색깔기, 세척 등에 시 간이 걸리고, 롤라 하나의 무게가 60∼80Kg까지 가며, 여기에 주축 샤프트까지 끼면 100Kg이상이어서 운반, 장착, 무늬맞춤 등의 조작 이 어렵다. 여기 소비되는 시간은 약45분이 걸리며 따라서 가공수량이 많은 것 이 요구된다. 따라서 견, 모 등의 값싼 생지 나염에는 이용되지 않으며, 면포지 등의 값싼 생지 나염이나 안료 나염에 많이 이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