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며]/어패럴무역

信用狀, letter of credit

Jackim 2008. 2. 14. 00:45
    信用狀, letter of credit 수입상의 거래은행이 신용을 대외에 제공하고 수입상을 대신하여 약정된 금액·기간·조건에 따라 수출상이 수입상 앞으로 대환어음을 발행하면, 그 어음의 인수 또는 지급에 대해 보증을 하거나 자기 앞으로 어음을 발행하게 하여 그 어음의 인수 또는 지급에 대해 확약하는 증서. 이는 무역거래에서 원활한 대금결제를 위한 것이다. 무역상들이 상품에 대한 대금결제를 받지 못하거나 적기에 상품을 인수하지 못할 경우 국제적 상품교역은 큰 장애를 받게 되며, 국내에서 아무리 신용도가 높다 할지라도 외국에서는 신용을 인정받지 못하게 되어 예상하지 못한 환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 이러한 국제교역에서의 상품인수와 대금결제에 수반되는 제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이 바로 신용장제도이다. 1933년 신용장제도의 정비를 위해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열린 국제상업회의소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ICC) 총회에서 '대환신용장에 관한 통일규칙 및 관례'
    (Uniform Customs and Practice for Documentary Credits Brochure No. 82)가
    채택되었으며, 그후 수차에 걸쳐 개정되었다. 제3차 개정 이후 인코텀스(Incoterms, 1980),
    '추심(椎尋)에 관한 통일규정'(Uniform Rules for Collections) 등 제반 무역관계 국제규정의
    개정 및 제정에 따라 ICC 금융위원회가 제출한 'ICC 간행 400'(Doc No.470/480)이
    1983년 6월 21일 ICC의 제144차 이사회에서 확정되었고,
    국제연합 국제거래법위원회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UNCITRAL)의 인준을
    얻어 1984년 10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제도는 국제거래를 촉진시키는 유용한 수단이 되지만 종국적으로 매매당사자의 신의성이 전제가 된다. 즉 신용장은 독립된 지급수단이 아니며 계약의 성질을 가진 것으로, 의무의 존재는 인정하지만 일반어음과 같이 배서함으로써 임의로 양도될 수는 없다.
    또한 매입인이 상품대금을 지불하지 않는 경우 은행이 대신하여 변제한다는 약정도 아니다. 신용장은 크게 상업신용장과 여행신용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업신용장은 물품이 선적되기 전에 지급이 이루어지거나 지급 연기가 최소화 되기를 바라는 수출업자 및 다른 대행자에 의해 사용된다. 여행신용장은 외국 여행자의 편리를 도모하고 여행자 수표와 같은 용도를 보장하기 위해서 발행된다. 출처: 브래태니커

'[일,하며] > 어패럴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상운송용어  (0) 2008.08.27
CBM 계산방법  (0) 2008.08.27
신용장 (Letter of Credit) 의 종류  (0) 2008.04.28
CBM 구하는법  (0) 2008.02.20
OEM ( Originnal Equipment Manufacturing ) 주문자위탁생산  (0) 2008.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