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식 재단기의 종류]
(1) 전동식 원형 재단기
패턴의 곡선이 적은 부위와 직선의 절단에 사용하며, 정밀 재단에 들어가지 전 대충
자를 때도 사용한다. 칼의 형태가 원형이기 때문에 연단시, 소재 중 중간부분이 맨
먼저 절단되고 위와 밑소재는 나중에 절단되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 안감, 심지 등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원형 칼날의 형태는 여러 종류가 있다.
둥근 칼날은 단단한 소재, 4각형의 둥근 칼날은 일반소재, 7각형의 둥근 칼날은
거의 모든 소재, 10각형의 형태인 둥근 칼날은 부드러운 얇은 소재, 흠(도랑)이
파인 둥근 칼날은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에 사용되고 있다.
(2) 전동식 수직 재단기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1분에 약 3,000회 정도의 상하운동을 하면서
재단이 된다.
원형식보다는 곡선이나 각의 재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연단의 높이는 칼의 길이에 따라 각기 다르나 약 30cm의 높이까지도 가능하다.
칼날의 형태는 여러 종류가 있다.
매끈한 칼날은 일반소재, 자의 눈금 같은 칼날은 능직물·텐트 소재 등 중량이
무겁고 단단한 소재와 플라스틱 소재, 톱니칼날형은 인조섬유와 인조가죽,
물결 칼날형은 플라스틱과 스폰지 소재 등 가공된 소재, 분지모양의 파인
칼날형은 소재의 표면에 고무 가공된 소재 등에 사용된다.
(3) 전동식 밴드 나이프 재단기
작은 패턴들을 정확하게 재단하는 정밀 재단용 기기로서 1초에 약 7∼25m
속도로 주행을 한다.
이때 재단기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소재를 움직여 재단이 이루어진다.
4cm까지 연단된 높이의 소재를 재단할 수 있으며, 재단시 흐트러지지 않도록
소재를 조심하여 움직여야 한다.
(4) 철형판 재단기
마커형지의 요척도 대신에 철판으로 패턴의 형태를 제작하여 소재의 밑이나
위에서 압력에 의해 절단되는 방법이다.
소요기간이 짧고 정밀도가 높지만 철판제작 때문에 가격이 비싼 것이 단점이다.
용도는 디자인이 자주 변하지 않는 양복이나 넥타이, 와이셔츠, 셔츠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5) 컴퓨터 재단기
컴퓨터 제어에 의한 자동재단기로서 가느다란 물의 흐름(Water jet cutting)의
재단과 레이저를 이용한(Laser beam cutting)방법이 있다.
재단의 정밀도가 높아 봉제공정이 효율적이며 재단능력이 수작업에 비해
약 3∼5배 이상 높고 사용방법도 쉽게 익힐 수 있어 재단의 경비도 감소된다.
최근 컴퓨터는 디자인, 패턴, 연단, 재단 봉제 그리고 생산관리 등 거의 전분야에
걸쳐 이용되고 있다.
신축성이 높은 니트의 경우, 경·위사방향으로 늘어나는 정도가 소재에 따라
다르나 전동식 수직재단기, 원형재단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횡편기의 편성물 중 소재가 그림 5와 같이 반 정도 짜인 상태인 경우는
분리선의 실을 잡아당겨 절단되며 다른 부위는 일반 재단기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패턴의 일그러짐이나 매끄러워 재단을 하기 어려운 소재 등에는
클립이나 핀 등 여러 가지 부속품이 이용되고 있다.
⊙ 위치표시
위치표시 공정은 포켓의 위치나 다트의 끝점 그리고 위치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굵은 시침봉사나 색초크 혹은 큰 구멍을 뚫는 방법 등이 있다.
위치표시 공정에 사용되기 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시침 봉사 표시기: 시침봉사로 표시하는 기기는 소재의 올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밀도가 낮은 소재나 결이 많은 소재 등과
대부분의 소재에 사용된다.
시접 위치 표시기: 시접위치 표시기기는 톱니 같은 칼날형의 기계로서,
다트의 위치나 패턴의 맞춤부위를 재단된 소재의 가장 자리에 표시하며 전동식
수직재단기와 비슷하다.
소재 중간 위치 표시기: 다트의 끝이나 몸판의 중간에 있는 포켓의 위치,
단추나 단추구멍의 위치 등을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밀도가 높은 소재는
구멍을 뚫어 표시하는 기계이다.
구멍을 뚫는 방법에는 차갑고 굵은 바늘로 구멍을 뚫어 표시하는 기계와
뜨거운 바늘로 소재를 태워 구멍을 뚫는 방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