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Seam)]
땀(봉환, Stitch)이 일정한 간격으로 봉제선을 이루며 1매 또는 여러 매의 소재에 연속하여
봉합되는 상태를 심(Seam)이라 한다. 품질이 높은 심은 스티치 형태, 봉사의 구조, 재봉기의
봉사에 대한 적당한 장력 등 봉제할 소재와 의복의 용도에 맞아야 한다.
심의 목적과 기능은 다음가 같다.
① 2장 이상의 소재를 연결함으로써 의복의 형태를 고정시켜 준다.
② 여러 종류의 스티치형태에 맞는 봉사의 굵기, 색상 등에 따라 의복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하여준다.
③ 인장 강도가 높은 균일한 심으로 세탁 후에도 형태의 변함이 없이 오랫동안 착용할 수 있다.
1) 심(Seam)의 분류와 표시기호
심의 분류방법은 한국공업규격 KS K 0030 '심의 분류와 표시 기호'에 의해 분류, 표시한다.
한국공업규격은 국제표준규격(ISO)과 같은 방법으로 소재의 매수와 스티치한 부위의 봉제선과
함께 5자리 숫자로 표시한다.
심의 유형분류와 표시기호는 다음과 같다.
심은 구성하는 천의 가장자리 상태와 그 조립부분에 따라 아래와 같이 8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스티치부위와 스티치하지 않는 부위의 표시는 심의 표시방법에 따른다.
유형1 : 천은 2매 이상으로 구성한다. 2매인 경우는 그 양쪽 모두 같은 쪽의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2 : 천은 2매 이상으로 구성한다. 2매인 경우는 각각 상반되는 쪽의 가장자리가 스티치부위로
포개져 합치는 것으로 한다.
3매 이상인 경우는 처음 2매의 어느것과 같은쪽 또는 양쪽의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3 : 천은 2매 이상으로 구성한다. 2매인 경우 그중 1매는 한쪽편의 가장자리가 스티치부위이고,
다른 1매는 양쪽 가장자리가 스티치부위로써 전자의 가장자리를 후자가 감싸는 것으로 한다.
유형4 : 천은 2매 이상으로 구성한다. 2매인 경우는 각각 상반되는 쪽의 가장자리가 스티치부위로
맞대어 있는 것으로 한다.
3매 이상인 경우는 처음 2매의 어느 것과 같은쪽의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5 : 천은 1매 이상으로 구성한다. 1매인 경우는 양쪽의 가장 자리를 스치티하지 않는 부위로 한다.
2매 이상인 경우는 처음 1매와는 달리 한쪽 또는 양쪽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6 : 천은 1매로 구성한다. 한쪽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7 : 천은 2매 이상으로 구성한다. 2매인 경우, 그중 1매는 한쪽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3매 이상인 경우는 처음 2배와 달리 양쪽 가장자리 모두를 스티치 부위로 한다.
유형8 : 천은 1매 이상으로 구성한다. 양쪽 가장자리 모두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 심의 표시방법(숫자)
심은 다음과 같은 5자리 숫자로 표시한다.
① 제1자리 숫자는 유형 ①∼⑧의 구별을 나타낸다.
② 제2, 3자리 숫자는 심천의 구성의 구별을 01∼99로 나타낸다.
③ 제4, 5자리 숫자는 ②구성내의 침의 위치 및 천의 상태 차이를 01∼99로 나타낸다.
④ KS K 0029(스티치 형식의 분류와 표시기호)에 규정하는 스티치 형식의 표시기호를 병기하는 경우는
심의 표시기호 뒤에 사선을 넣어 표시한다.
*심의 표시방법(그림)
심은 다음과 같은 5자리 숫자로 표시한다.
① 천의 단면은 굵은 선으로 표시
② 스티치부위는 직선으로 표시
③ 스티치하지 않는 부위는파선으로 표시
④ 침의 위치는 직선으로 표시
ⓐ 침의 구성천의 전체를 관통할 경우 침의 위치선은 선을 가로질러서 표시
ⓑ 침의 구성천의 전체를 관통하지 않은 경우 침의 위치선은 천의 위에서 정지시키든가 천에 접하여 표시
ⓒ 침의 통과가 2개소인 경우는 다음과 같이 표시
⑤ 코드 또는 심사의 단면은 큰 혹점으로 표시한다.
⑥ 몇번의 작업을 요하는 경우는 봉제 후의 상태로 표시한다.
⑦ 심의 표시는 다음의 보기와 같이 표시한다.
유형1 : 천은 2매 이상으로 구성한다. 2매인 경우는 그 양쪽 첫 모두 같은쪽의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3매 이상인 경우는 처음 2매의 어느것과 같은 쪽 또는 양쪽의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2 : 천은 2매 이상으로 구성한다. 2매인 경우는 각각 상반되는 쪽의 가장자리가 스티치부위로 포개져
합치는 것으로 한다. 3매 이상인 경우는 처음 2매의 어느것과 같은쪽 또는 양쪽의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3 : 천은 2매이상으로 구성한다. 2매인 경우 그중 1매는 한쪽편의 가장자리가 스티치부위이고,
다른 1매는 양쪽 가장자리가 스티치부위로서 전자의 가장자리를 후자가 감싸는 것으로 한다.
3매이상인 경우는 처음 2매의 어느 것과 같은쪽의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4 : 천은 2매이상으로 한다. 2매인 경우는 각각 상반되는 쪽의 가장자리가 스티치부위로 맞대어 있는
것으로 한다. 3매 이상인 경우는 처음 2매의 어느 것과 같은쪽 또는 양쪽의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5 : 천은 1매이상으로 구성한다. 1매인 경우는 양쪽의 가장자리를 스티치하지 않은 부위로 한다.
2매이상인 경우는 처음 1매와는 달리 한쪽 또는 양쪽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6 : 천은 1매로 구성한다. 한쪽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7 : 천은 2매 이상으로 구성한다. 2매인 경우, 그중 1매는 한쪽 가장자리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3매이상인 경우는 처음 2매와는 달리 양쪽 가장자리 모두를 스티치부위로 한다.
유형8 : 천은 1매 이상으로 구성한다. 양쪽 가장자리 모두를 스티치 부위로 한다.
◈ 미연방 규격(FS:Federal Specification)에 의한 심의 분류방법
심(Seam)은 4가지의 형태에 따른 심과 두가지의 끝맺음과 장식을 목적으로 하는 종류가 있으며,
분류 방법은 심의 첫 글자를 영문 대문자로 표시한다.
보기 : SS, LS, BS, FS 또한 심 형태의 종류는 영문 소문자로 대문자 뒤에 표시한다.
보기 : a, b, c, d...
① 슈퍼임포스 심(SS:Superimposed seams)
2매 이상의 소재가 끝부분이 서로 나란히 포개진 상태에서 1줄 또는 여러줄을 봉제하는 심
② 랩 심(LS:Lapped seams)
2매 이상의 소재가 서로 포개거나 겹쳐진 상태에서 그 부분에 스티치를 1줄 또는 여러줄을 봉제하는 심
③ 바운드 심(BS:Bound seams)
1매 이상의 소재의 가장자리를 다른 소재나 테이프로 감싸서 한줄 또는 여러 줄을 봉제하는 심
④ 플랫 심(FS:Flat seams)
2매의 소재를 포개지 않은 상태에서 봉사나 다른 소재로 연결하는 심
⑤ 에지 피니싱(EF:Edge finishing)
1매 이상의 소재의 가장자리, 끝의 마무리작업을 하는 심
⑥ 오너멘털 스티칭(OS:Ornamental stitching)